상세검색
최근 검색어 전체 삭제
다국어입력
즐겨찾기0
인간행동과 음악연구 제21권 제3호.jpg
KCI등재 학술저널

장애 형제와 가정에서 공유하는 음악 경험 형태에 따른 비장애 아동의 형제 관계 인식 및 장애 수용도

Perceived Sibling Relationship and Acceptance of Disability in Neurotypical Children Depending on Shared Music Experiences at Home With Siblings With Developmental Disabilities

DOI : 10.21187/jmhb.2024.21.3.019
  • 4

장애 아동에게 있어 비장애 형제의 역할이 중요해짐에 따라 본 연구에서는 장애 아동 가정에서 형제가 실제 경험하는 음악 활동의 형태, 유형, 빈도를 알아보고 그 수준에 따라 비장애 아동의 형제 관계 인식 및 장애 수용도가 어떻게 다른지 알아보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만 18세 이하의 발달장애 아동을 형제로 둔 만 9세 이상 만 12세 이하의 비장애 아동을 대상으로 가정 내 장애 형제와의 놀이 및 음악 경험과 그에 따른 인식에 대한 설문조사를 시행하였다. 수집된 자료는 각 문항별로 기술통계를 실시하였고, 음악 공유 경험의 유형, 수준, 강도에 따른 형제 관계 인식과 장애 수용도의 차이를 일원분산분석을 통해 분석하였다. 연구 결과, 장애 형제와의 음악 공유 경험이 있는 비장애 아동이 지각하는 장애 형제에 대한 친밀성과 장애 수용도가 유의하게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p<.001). 특히, 형제간 음악 활동 동안 상호작용이 이루어지는 경우에는 소통의 균형성 등의 구체적 수준과는 상관없이 비장애 아동이 장애 형제에 대해 지각하는 친밀성이 유의하게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반면, 장애 수용도는 형제간 상호작용이 없거나 비장애 아동이 장애 형제를 주도하는 경우, 장애 형제에게 양보하며 진행하거나 동등하게 소통하는 경우에 비해 유의하게 낮은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는 장애-비장애 형제가 공유하는 음악 경험의 고유한 의미와 이에 따른 비장애 아동의 인식과 관련된 유용한 기초자료를 제시했다는 점에서 의의가 있다.

This study aimed to explore the types, levels and frequencies of musical activities shared by neurotypical siblings and their siblings with developmental disabilities, and their influences on perceived sibling relationships. An online survey comprising 92 items was conducted with neurotypical children aged 9 to 12 who have siblings with developmental disabilities under the age of 18. Descriptive statistics were used to analyze responses, and one-way ANOVA was conducted to examine differences in perceptions of sibling relationships and disability acceptance depending on the intensity and types of shared musical experiences. The results indicated that when neurotypical children shared musical experiences with their siblings with disabilities, their perceived closeness to their siblings and acceptance of the disability were significantly higher (p <.001). Furthermore, perceptions varied depending on the level of shared musical experiences. When interactions occurred during musical activities between siblings, neurotypical children perceived significantly higher levels of closeness towards their siblings, regardless of the specific balance or level of communication. Conversely, disability acceptance was significantly lower both when there was no interaction during the musical activities and when neurotypical children solely led the activities. This study provides significant insights into shared music experiences at home between siblings with disabilities and the influences of these experiences on perceived sibling relationships.

Ⅰ. 서 론

Ⅱ. 연구 방법

Ⅲ. 결 과

Ⅳ. 논의 및 제언

References

로딩중