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세검색
최근 검색어 전체 삭제
다국어입력
즐겨찾기0
학술저널

전자출판 시장 활성화를 위한 개선방안 연구 : 국내 출판전문가 인식을 중심으로

A Study on Improvement Strategies for Revitalizing the E-Publishing Market: Focusing on the Perceptions of Domestic Publishing Experts

  • 30
한국출판학연구 통권 제117호.jpg

본 연구는 전자출판물로 출간하는 콘텐츠가 증가하고 있고, 디지털 독서가 확장되고 있는 시점에서 전자출판 시장의 활성화를 위한 방안을 살펴보고자 하는 것에서 출발하였다. 이를 위해 전자출판 시장 및 독서환경에 대한 국내 출판생태계 및 관련 분야 종사자의 인식을 파악하고, 향후 전자출판 시장 활성화 및 독서환경 개선을 위한 방안이 무엇인지 모색하고자 한다. 연구결과 첫째, 전자출판 시장은 아직 성장단계이며, 전자책에 대한 출판사 및 저자들의 인식 개선이 요구된다. 둘째, 콘텐츠, 제작 및 유통 관점에서 전자출판 시장에 대한 인식은 콘텐츠 종수 확보와 더불어 독자들이 전자책을 새롭게 경험할 수 있는 방안 마련이 필요하다. 셋째, 전자책 활성화를 위한 킬러 콘텐츠 발굴을 지원하고 전자책 콘텐츠 개발 사례를 발굴 및 안내 방법을 모색해야 한다. 본 연구를 바탕으로 전자출판 시장 활성화를 위해 필요한 방안 등을 고려하여 앞으로 전자책 확장을 위한 개선방안에 유용한 자료가 될 것으로 기대된다.

This study begins with the observation that the production of content for electronic publications is increasing, and digital reading is expanding. It aims to examine strategies for revitalizing the e-publishing market. To this end, the study seeks to understand the perceptions of professionals in the domestic publishing ecosystem and related fields regarding the e-publishing market and reading environment. Furthermore, it aims to explore potential strategies for enhancing the e-publishing market and improving the digital reading environment in the future. The finding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First, the e-publishing market is still in its growth phase, and there is a need to improve the awareness of publishers and authors about e-books. Second, from the perspectives of content production and distribution, the industry requires strategies to diversify content offerings while providing readers with novel and engaging e-book experiences. Third, supporting the discovery of “killer content” and exploring practical cases and methods for developing e-book content are crucial for fostering the growth of e-books. Based on these findings, this study is expected to serve as a valuable resource for identifying effective strategies for revitalizing the e-publishing market and promoting e-book adoption.

1. 서론

2. 이론적 배경

3. 연구문제 및 연구방법

4. 연구 결과

5. 결론 및 제언

참고문헌

(0)

(0)

로딩중