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세검색
최근 검색어 전체 삭제
다국어입력
즐겨찾기0
학술저널

율곡 이이의 출판 사상에 관한 연구

Yulgok Yi I's publication ideology

  • 9
한국출판학연구 통권 제117호.jpg

본 논문은 율곡 이이의 저작 가운데 흩어져 있는 저술, 서적, 독서 등 출판과 관련되어있는 글들을 ‘율곡 이이의 출판 사상’이란 주제 아래 재구성하고 재개념화하는 것을 목적으로 하였다. 연구 결과, 율곡 이이의 사상 중 글쓰기나 저술에 관계된 저술관의 특징은 저술이나 글쓰기에 있어서 신중성이 강조되고 있다는 점이다. 율곡 이이에게 서적은 일종의 도의 판단 기준, 진리의 판단 기준, 선과 악의 구분에 관한 준거가 모두 들어 있는 창고와 같은 곳이다. 율곡 이이에게 독서란 단순히 책을 읽는 행위를 넘어서 책을 통해 사물의 이치와 일상의 이치를 찾는 것을 의미했다. 본 논문에서 율곡 이이가 강조하고 있는 독서의 본질은 궁리의 독서, 시비의 독서, 실천의 독서, 실용의 독서로 나타났다. 율곡 이이는 독서를 통한 앎은 하층의 앎으로 파악하였으며, 궁극적인 앎은 최종 실천을 통해 이루어진다고 보았다. 율곡 이이가 독서를 방해하는 요소로 본 것은 무념(無念)의 독서 병통, 마음만 앞서는 독서 병통, 글과 독자의 분리 병통, 고원 난행의 독서 병통 등이었다.

This paper aims to reconstruct and reconceptualize the writings, books, and reading-related texts scattered among the works of Yulgok Yi I under the theme of “Yulgok Yi I's Publishing Ideas.” The study results show that the characteristics of Yi I's perspective on authorship related to writing and authorship emphasize the prudence in writing and authorship. To Yi I, books were like a repository containing the standards of Taoist judgment, the standards of truth judgment, and criteria for distinguishing between good and evil. For Yi I, reading was not just the act of reading books but finding the principles of things and everyday life through books. The essence of reading emphasized by Yi I in this paper appeared as reading for inquiry, reading for discernment, reading for practice, and reading for practicality. Yi I perceived the knowledge gained through reading as lower-level knowledge, believing that ultimate knowledge was achieved through final practice. The factors Yi I saw as hindrances to reading included the illness of reading without thought (無念), the illness of reading with only the mind ahead, the illness of separation between the text and the reader, and the illness of reading with high barriers and difficult behavior.

1. 서론

2. 율곡 이이의 저술관

3. 율곡 이이의 서적관

4. 율곡 이이의 독서관

5. 결론

참고문헌

(0)

(0)

로딩중