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 논문은 <홍길동전>에 나타난 공간 이동의 신화적 전통과 문학적 가치를 규명하는 데 주안점을 두었다. 공간 이동의 전통은 고대의 동명계 신화에서 보편적이다. 따라서 <홍길동전>의 공간 이동은 동명계 신화의 기법을 계승한 것으로 보아야 한다. 이 논문에서는 동명계 신화에 나타난 공간 이동의 전통과 서사적 성격을 확인한 다음, <홍길동전>의 공간 이동을 신화적인 관점에서 분석하고 그 가치를 확인하고자 했다. 논의한 내용을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동명계 신화의 전승과 공간 이동의 서사적 성격을 검토하였다. 동명계 신화는 다양한 고대국가에서 지배자로서의 당위성 확보를 위해 활용하였다. 정복을 통한 영역의 확장 때문에 이들 신화에는 공간 이동이 필수적인 요소로 작용한다. 이 공간 이동을 중요하게 다루다 보니 그곳에 유의미한 서사적 성격이 담기게 되었다. 공간 이동 이전인 기존 공간에서는 주인공의 비범한 출생과 성장을 다루다가 이동 공간을 통해 축적된 능력의 발현으로 새로운 왕이 되도록 했기 때문이다. 투쟁을 통해 목표한 바를 성취하는 영웅의 모습을 공간 이동을 통해 구현한 것이다. 둘째, <홍길동전>의 공간 이동을 신화적인 측면에서 분석하였다. 홍길동은 동명계 신화의 영웅인물과 유사하다. 먼저 동명계 신화의 주인공이나 홍길동 모두 공간 이동 이전 국가에서 능력을 함양하도록 했다. 대체로 공간 이동 이전의 국가는 주인공에게는 결핍과 불만의 세계로 형상화된다. 뛰어난 능력을 갖추었지만 그것이 위험 요인으로 작용하여 거부와 배척의 대상이 된다. 공간 이동을 통해서는 축적된 영웅적 능력을 발현하도록 했다. 동명계 신화의 주인공이나 홍길동 모두 공간 이동을 통하여 원대한 욕망이 실현되도록 했다. 이처럼 공간 이동 전후의 성격이 같기에 <홍길동전>은 동명계 신화를 토대로 전체 구도가 짜였음을 알 수 있다. 셋째, <홍길동전>의 공간 이동이 갖는 문학적 가치이다. 동명계 신화의 공간 이동은 <홍길동전>으로 수용되면서 기법이나 내용에서 변화가 생겼다. 먼저 공간 이동이 역사적 내력담에서 문학적 비유담으로 조정되었다. 고대의 개척과 투쟁적인 신화담론에 중세의 운명적인 소설담론의 성격이 가미되어 빚어진 일이다. 다음으로 서사적 목표가 이동 공간에서 기존 공간을 지향하도록 했다. 공간 이동을 통해 구축한 새로운 세계보다는 기존 공간에다 서사적 지향점을 두었다. 중세적인 이념과 제도로 무장된 기존 국가의 문제를 시정하기 위하여 비유의 대상으로 새로운 공간의 이상국가가 필요했던 것이다.
This paper focuses on identifying the tradition of spatial movement and its narrative value in the Honggildongjeon. The tradition of spatial movement was common in ancient founding myths, and the spatial movement in Honggildongjeon inherits the techniques of founding myths. Therefore, this paper identifies the tradition of spatial movement and interprets the movement from a mythological perspective. To summarize the discussion so far. First, the tradition and succession of spatial movement in classical narratives is identified. Mythology and classical novels are the genres that are most interested in spatial migration. In ancient founding myths, spatial movement is essential as pioneering heroes conquer new territories and build ancient nations there. This tradition has been inherited by classical novels. Works that deal with new countries and new worlds through spatial movement fall into this category. Second, the spatial movement in Honggildongjeon was interpreted in terms of mythology. Hong Gil-dong, the protagonist of this work, is similar to the hero of the Jumong myth. First, in both works, the hero develops his abilities in the country before the spatial shift. Generally speaking, the country before the spatial shift is represented as a world of deficiency and dissatisfaction for the protagonist. The spatial shift allows both works to realize the accumulated heroic abilities. Through the spatial shift, all of the protagonist's great desires are realized. The same characterization before and after the spatial shift suggests that the entire composition of Honggildongjeon is based on the founding myth. Third, the literary value of the spatial shift in Honggildongjeon was focused on. The spatial shift of the Jumong myth was adapted into Honggildongjeon, and changes were made in technique and content. First, the spatial movement was adjusted from a historical narrative to a literary allegory. The pioneering mythological narrative of ancient times was replaced by the fatalistic fictional narrative of the Middle Ages. Next, the spatial movement shifted from ancient land-based travel to medieval maritime travel. The medieval perception of the world is reflected in the shape of the work. Finally, the narrative goal is shifted from moving space to existing space. The narrative objective of the spatial movement is not a new country, but an existing country. Medieval settlement rather than ancient frontier life triggered this change.
1. 서론
2. 동명계 신화의 전승과 공간 이동의 서사적 성격
3. <홍길동전>의 공간 이동과 신화적 분석
4. <홍길동전>에 나타난 공간 이동의 문학적 가치
5. 결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