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세검색
최근 검색어 전체 삭제
다국어입력
즐겨찾기0
마한백제문화 제44집.jpg
KCI등재 학술저널

미륵사지 출토 供養 小塔에 대한 고찰

A Study on the Small Votive Stupas Excavated from the Mireuksa Temple Site

DOI : 10.34265/mbmh.2024.44.94
  • 8

미륵사지에는 공양 소탑이 토제, 석제, 금속제 등 다양한 재질로 총 6건 18점 출토되었다. 각 재질 별로 토제 소탑은 1997년 연못지에서, 석제 소탑은 1차 발굴조사시 서원 승방지의 동쪽 기단외부 석축 계단지 아래 배수로 안에서, 금속탑 편들은 2차 발굴조사시 사역북편 건물지, 강당지 기단 갑석, 후대 남회랑지에서 출토되었다. 본고에서는 이처럼 공양 소탑들이 다수 출토되었던 미륵사지의 조탑 신앙 을 확인해보고자 하였다. 공양 소탑에 관련된 조탑 경전의 시기별 변화 양상을 살펴보고, 동시기 다른 사지에서 출토된 소탑의 조탑 상황을 비교분석하여 미륵사지 출토 소탑 형식의 비교 분석과 그 성격 과 기능에 대해 고찰해보았다. 토제 소탑은 『불설조탑공덕경』의 연기법송에 의거해 탑과 불상을 번갈아 새기는 형식과 연기법송 을 함께 새겨 유포하였다. 미륵사지 출토 토제 소탑은 탑만 3기가 부조되어 있어 나머지 탈락된 부분 에는 탑만 단독으로 혹은 탑과 불상이 모두 시문되었는지에 대한 여러 가능성이 추정된다. 소탑의 기능은 미륵사지의 전각 혹은 탑을 장식하는 건축 부재로 7세기 후반~8세기에 조성되었을 것으로 추 정된다. 석제 소탑은 『무구정경』에 의거해 의례에 따라 절차, 횟수와 수량을 정해 조성하여 매납하였 다. 9세기 이후에는 다라니를 공양 소탑 저부에 원공을 뚫어 매납하여 조탑 양상이 변화되었다. 미륵 사지 출토 석제 소탑도 9세기 후반경에 매납된 석탑형 소탑들과 양식이 유사하며 저부의 원공에 다라 니를 매납해 승방지에서 승려의 개인 공양품으로써 9세기 후반경에 조성되어 사용되었을 것으로 여 겨진다. 금속제소탑은 『보협인경』에 의거하여 금속 재질은 그대로 수용되고 형식은 『법화경』「견보탑 품」의 <사경변상도>에 주로 표현된 다층누각 목탑형 금속제 소탑 형식으로 제작하였다. 미륵사지 출 토 금속제 소탑도 기단부와 상륜부편만이 잔존하여 다층누각 목탑형 금속탑에서 장식 요소가 추가된 형식으로 추정되며, 고려시대 사용되었던 강당지와 사역 북편 인근 건물에서 수행자 혹은 승려들의 예 배용 물품으로 11세기 중반 이후에 사용되었을 것으로 보인다. 이렇듯 공양 소탑들은 시기별로 유행하는 조탑 경전에 의거하여 토제, 석제, 금속제 등 재질별로 제 작되었다. 각 공양 소탑들은 전각 혹은 탑의 건축 부재와 개인 공양품 등으로 제작되어 통일신라시대 7세기 후반부터 고려시대 11세기 중반까지 미륵사지의 불탑 신앙의 또 다른 부분을 살펴볼 수 있었다.

Excavations at the Mireuksa Temple site have unearthed eighteen small votive stupas across six sets, crafted from materials such as clay, stone, and metal. Each material group reveals a distinct historical context: the small clay stupas were discovered in 1997 during excavations in the pond area; the small stone stupas were found beneath a staircase in the drainage channel on the eastern stylobate of the large stone platform near the monks’ quarters on the West Side; fragments of metal stupas emerged during secondary excavations from the northern building site within the temple site, on the gapsuk (a flat stone laid on another stone) of the temple auditorium stylobate, and in the southern parts of the galleries. This paper aims to examine the religion of building stupas at the site of Mireuksa Temple where many small votive stupas were excavated. This is achieved through a comparative analysis of style in addition to a study on the characteristics and functions of the small votive stupas discovered at Mireuksa Temple. Thus, the research presented here is based on a review of the temporal evolution of sutras on stupa construction as related to small votive stupas and a comparative analysis of such sutras from small votive stupas unearthed at other contemporary temple sites. Small clay votive stupas were decorated according to the Paticca-Samuppada-Gata from the Sutra on Building Pagodas and Practicing Good Deeds. Inscribed with the Paticca- Samuppada-Gata in addition to depictions of alternating pagodas and Buddha statues, the stupas were circulated throughout the region. However, the clay votive stupa unearthed at Mireuksa features a relief of only three pagodas. The rest of the stupa is damaged, which suggests multiple possibilities for the missing portions. These include configurations with either pagodas alone or a combination of pagodas and Buddha statues. Likely intended as architectural components within temple structures or as decorative elements for pagodas, these clay stupas are estimated to date to the late 7th to 8th centuries. The small stone votive stupas, crafted according to the Pure Light Dharani Sutra, were typically produced in specified quantities and enshrined en masse. From the 9th and 10th centuries, the practice evolved to incorporate circular openings at the base of the stupas for Dharani offerings. The stone votive stupas from Mireuksa, similar to those enshrined in the late 9th century, include this feature, indicating that they likely served as personal offerings by monks within the monks' quarters and were crafted in the late 9th century. The small metal votive stupas, following the Bohyeopin Dharani Sutra, preserved their original metal composition, yet emulated the design of multi-tiered castle-like wooden pagodas depicted in the Emergence of the Treasure Pagoda in the Circulation of the Lotus Sutra frontispieces. These multi-storied wooden pagoda-type metal stupas were crafted in the spatial pattern with multiple compartments, which were used to enclose Buddha statues or sutras, so they are seldom discovered intact. Only the fragments from the construction of the pagodas and the finial of the stupa remain in the metal stupa unearthed at Mireuksa Temple site. They indicate an elaborate style of multi-tiered wooden pagoda-type metal stupa, likely adorned with additional decorative elements beyond the typical design. It is presumed that these stupas were used as ritual items by practitioners or monks in the vicinity of the temple hall and northern building site of the temple during the mid-11th century, in the Goryeo period.

Ⅰ. 서론

Ⅱ. 조탑 경전의 시기별 변화 양상

Ⅲ. 미륵사지 출토 공양 소탑의 성격

Ⅳ. 결론

로딩중