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세검색
최근 검색어 전체 삭제
다국어입력
즐겨찾기0
한국고대사탐구 제48집.jpg
KCI등재 학술저널

東大寺를 통해 본 고대 일본 속의백제계 渡倭人 - 百濟王 敬福의 황금 헌상을 중심으로

Immigrant from Baekje in Ancient Japanthrough Todai-ji : Focused on the Gold Tributeof the Kudaranokonikishi Kyofuku

DOI : 10.35160/sjekh.2024.12.48.189
  • 26

백제에서 전래된 불교는 단순한 종교를 넘어 선진 문물과 지식의 보급 뿐 아니라 사상과 관습, 문학, 건축, 생활양식 등 일본 문화 전반에 큰 영향을 끼쳤다. 또한, 공식적인 불교의 수용은 사상적 통일과 함께, 지배층이 통치 및 권력 강화하는데 적극적으로 활용되었다. 따라서 백제에서 전래된 불교는 일본이 고대 국가의 기틀을 마련하는데 중요한 역할을 하였다고 볼 수 있을 것이다. 그 과정에는 백제에서 건너 온 관료, 지식인, 승려 등의 역할이 컸다. 백제가 일본에 불교를 전래한 이후, 다수의 사찰이 조영되었는데, 이때, 백제계 출신들의 활동이 두드러진다. 특히, 주목되는 것은 일본 제45대 聖武天皇(재위: 724~749)의 東大寺의 창건과 비로자나불(毗盧遮那佛, 이하 대불) 조영이다. 백제계 출신으로 추정되는 승려 良辨과 行基는 수행과 포교를 통해 東大寺의 개원과 대불 조영에 공헌하였다. 또한, 백제계 관인의 후손인 國中公磨呂는 대불을 주조하는데 큰 역할을 하였다. 한편, 백제 의자왕의 왕자인 선광을 선조로 하는 百濟王씨 출신의 경복은 일본에서 최초로 산출된 황금을 헌상하였다. 이것은 일본 내에서 산금의 시작을 알리는 것과 동시에 황금의 대량생산의 가능성을 나타내고 대불완성의 계기가 되었다. 東大寺 창건과 대불 조영은 聖武天皇이 불안정한 정치 상황과 사회정세를 불교를 통해 해결하고자 추진한 국가 중요사업이었다. 따라서 이러한 대규모 사업에는 당시, 학식과 재능이 가장 뛰어난 승려, 관인, 기술자 등이 등용되는 것은 당연한 일이었다. 그리고 그 중심에는 지식과 기술, 높은 문화 수준을 가지고 있었던 백제계 출신의 사람들이 있었다. 일본조정은 이들의 재능을 높이 평가하였고, 그에 합당한 포상을 주었다. 그 결과, 백제의 지식과 기술이 포함된 문화는 고대 일본의 불교 수용과 국가의 기틀을 정비하는 과정에서 자연스럽게 녹아들어 뿌리를 내리게 되었다. 이것은 백제계 도왜인들이 고대 일본의 문화 형성과 국가 운영 체제 구성에 중요한 역할을 하였던 것으로 평가할 수 있을 것이다.

The founding of Todai-ji and Daibutsu were important national projects promoted by the Shomu tenno to solve the unstable political situation and social situation through Buddhism. Therefore, it was natural for monks, government officials, and engineers who were the most talented to be employed in such large-scale projects at that time. And there were people from Baekje descendents who had knowledge, skills, and high levels of culture in that projects. The Japanese government appreciated their talent and gave them reasonable rewards. As a result, Baekje knowledge and skills naturally melted in the process of accepting Buddhism in ancient Japan and founding of the state. It can be evaluated that the Baekje immigrant played an important role in the formation of ancient Japanese culture and the composition of the national system.

Ⅰ. 머리말

Ⅱ. 東大寺 창건과 대불 조영에서 보이는 백제계 渡倭人

Ⅲ. 대불 조영과 백제왕 경복의 황금 헌상

Ⅳ. 황금 공헌과 백제계 渡倭人

Ⅴ. 맺음말

로딩중