풍속화에 나타난 전통놀이
Traditional games depicted in genre paintings
- 한국영유아교육실천학회
- 영유아교육실천연구
- 제2권 제2호
-
2024.1263 - 93 (31 pages)
-
DOI : 10.62423/jepece.2024.2.2.63
- 14

본 연구는 예비유아교사의 전공만족도와 진로결정자기효능감, 놀이교수효능감 간의 관계를 분석하고, 전공만족도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는 데 있다. 연구대상은 4년제 대학교 유아교육과에 재학중인 예비유아교사 총 302명을 대상으로 한다. 예비유아교사의 전공만족도 척도, 진로결정자기효능감 척도, 놀이교수효능감 척도를 사용하여 자료를 수집하였다. 수집된 자료는 Pearson 적률 상관계수, 단계적 중다회귀분석을 통해 분석하였다. 연구결과 예비유아교사의 전공만족도와 진로결정자기효능감 잔, 전공만족도와 놀이교수효능감 간에 정적 상관관계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예비유아교사의 전공만족도에 놀이교수효능감과 진로결정자기효능감 순으로 높은 영향을 미치는 예측변인으로 나타났다. 하위요인별로 살펴보면 놀이교수효능감의 놀이교수효능에 대한 신념, 진로결정자기효능감의 목표선택, 놀이교수효능감의 놀이교수결과에 대한 기대, 진로결정 자기효능감의 직업정보 수집 순으로 전공만족도에 높은 영향을 미치는 예측변인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결과는 예비유아교사의 전공만족도에 영향을 미치는 변인을 밝히고, 전공만족도를 높이기 위한 기초자료로 활용될 수 있다.
This study aims to examine traditional games depicted in genre paintings of the late Joseon Dynasty and to find out what differences there are according to the age or gender of the participants. To this end, 67 genre paintings depicting 11 traditional games were selected as the final analysis subjects. Whether a child is a child or not was determined by the appearance of the hair in a bun or braids, rather than a topknot or bun. As a result of the analysis, 31 types of traditional games were shown in the genre paintings, including swing riding, mask play, and janggi. Children participated in traditional games with their parents, children, neighbors, and adults in the community rather than alone, and the preferred form of traditional games differed depending on gender. These results of the analysis show that the traditional society of our country values the worldview of respect for people and nature, which emphasizes the harmony of relationships between people and nature, and that it is due to the family-centered and group-centered community culture and the equal culture that recognizes individual differences between men and women. Therefore, it is suggested that our traditional games be harmoniously reintegrated and recreated with the past and the new, and utilized in educational institutions.
Ⅰ. 서 론
Ⅱ. 연구 방법
Ⅲ. 연구 결과
Ⅳ. 논의 및 결론
참고문헌
(0)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