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고에서는 고대 왜국(일본)의 군주 호칭인 ‘천황’의 성립 시기와 그 과정을 검토하고 아울러 ‘천황’호의 성립의 배경에 한반도 諸國에 대한 對韓 경쟁 의식이 도사리고 있었음을 살펴보았다. 먼저 ‘천황’호의 성립에 대해서는 호칭의 등장과 제도적 공적 칭호의 성립을 구분해서 보는 관점에 입각하여 분석하였으며 <대왕>→<대왕천황>→<천황>의 변천 과정을 상정할 수 있었다. <대왕천황>의 ‘천황’은 사회적 존칭으로서의 ‘천황’이며 아직 제도적 칭호(7세기 후반에 성립)로 자리잡기 이전에 기존의 ‘대왕’ 호와 함께 사용되고 있었음을 보여주는 것으로 파악하였다. 그리고 이러한 사회적 존칭으로서의 사용 가능성을 시사하는 몇 가지 사례를 방증의 자료로서 제시하였다. 이러한 군주호의 위상 변화에 대한 왜국 지배층의 시도는 당시 백제 등 삼한 제국의 군주의 위상을 의식한 조치였다. 7세기 당시의 왜국은 한반도 諸國에 대해 우월적 대국관을 견지하고자 하였으나 실태적으로는 상호 대등의 현실을 직면할 수밖에 없었으며 이러한 이상과 현실의 괴리를 왜국의 대국관과 외교의례의 분석을 통해 살펴보았다.
In this paper, I reviewed the timing and process of the establishment of the ‘Tenno(天皇)’, the title of the monarch of the ancient Wa(Japan), and examined that there was a sense of competition for ancient Korea in the background of the establishment of the ‘Tenno’. I analyzed the establishment of the 'Tenno' title based on the perspective of seeing the emergence of names and the establishment of institutional public titles separately, and suggested the transition process of “<Ohokimi(大王)> → <Ohokimi-Tenno(大王天皇)> → <Tenno>”. The ‘Tenno’ of “Ohokimi-Tenno” is a social honorific name, and it was found to show that it was still used with the existing ‘Ohokimi’ title before it was established as an institutional title (established in the late 7th century). In addition, several examples suggesting the possibility of use as such a social honorific name were presented as data for evidence. This change in the title of monarch referred to the status of monarchs of the three ancient countries of Korea at the time. Although the Japanese Empire had a superior sense of power over Korea in the 7th century, it was not accepted by the other party, so real diplomatic relations appeared as a form of mutual equality. I identified this aspect as a crack between the ideals and reality of ancient Japanese diplomacy and examined it through examples of Japanese diplomatic rituals.
Ⅰ. 머리말 -문제의 所在-
Ⅱ. ‘천황’호의 성립 과정
Ⅲ. ‘천황’호 수용의 契機性
Ⅳ. 왜국 大國觀 현시의 二重構造 - 외교 의례와 천황
Ⅴ. 맺음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