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세검색
최근 검색어 전체 삭제
다국어입력
즐겨찾기0
일본역사연구 제65집.jpg
KCI등재 학술저널

중세 일본의 군주 칭호에 대하여

The Titles of Monarchs in Medieval Japan

DOI : 10.24939/KJH.2024.12.65.51
  • 10

기존 연구에서는 일본 군주에 대한 칭호로 ‘천황’이 등장한 뒤, 헤이안 중기로 넘어가게 되면 천황 칭호는 제대로 사용되지 않는다는 인식이 공유되어 왔다. 하지만 물러났거나 사망한 군주에 대한 칭호와 현재 재위 중인 군주에 대한 칭호를 명확히 구분하지 않은 채로 논의되었기 때문에 그러한 인식은 불완전하다. 본고에서는 헤이안 중기 이후 귀족들이 군주에 대하여 어떤 칭호를 사용하였는지 사료를 통해 분석하고, 칭호에 따른 권위 부여와 역할의 차이를 고찰한다. 율령에서 상황별로 규정되어 있던 천자, 천황, 황제 등의 칭호는 8∼9세기에 이미 혼용되고 있었다. 10∼15세기 귀족들의 일기 속 군주 칭호를 살펴보면, 10세기 들어 재위 중인 군주를 가리켜 ‘상’, ‘금상’, ‘주상’ 등의 표현이 사용되면서 여러 일기에서는 ‘주상’ 표현이 ‘천황’에 비해 압도적으로 사용되는 경향이 나타난다. 그렇지만 ‘천황’ 역시 상당한 빈도로 등장하는 일기들이 확인되며 중세에 결코 천황 칭호가 사용되지 않았다거나 적게 쓰였다고 보기는 어렵다. 여러 용례를 살펴보면 천황 칭호는 고대 이래로 정무와 의례를 주관하는 제도적, 기관적 존재로서의 일본 군주에 대하여 사용되었을 가능성이 높다. 일본 군주에 대한 ‘공가(公家)’, ‘국왕’, ‘국주’ 표현도 고대 말, 중세 초에 등장하게 되는데 이 또한 통치자로서의 측면이 드러나는 칭호로 볼 수 있다. 다만, 공가의 경우 가마쿠라 막부 수립 이후 무가(武家)나 사가(寺家)에 대응되는 개념으로 변질되어 갔고, ‘국왕’, ‘국주’ 역시 상황(上皇)이나 막부의 실권자인 호조씨(北條氏)를 가리키는 표현으로 확장되어 갔다. 그 결과 ‘천황’ 칭호 만큼은 여전히 추상적이면서 근원적인 군주의 역할과 지위를 나타내는 말로 사용되었다.

In previous studies, it has been widely accepted that after the title tennō 天皇 first appeared for the Japanese monarch, it was no longer commonly used in the middle Heian period. However, this view is inaccurate because the distinction between titles for deceased or retired monarchs and those for reigning monarchs was not clearly made in those discussions. This paper analyzes the titles used by the nobility for the monarch after the middle Heian period, based on historical sources, and examines the differences in authority and roles associated with those titles. Titles such as tenshi 天子, tennō, and kōtei 皇帝, which had been prescribed in the ritsuryō 律令 codes, were already being used interchangeably by the 8th and 9th centuries. By examining the diaries of the nobility from the 10th to the 15th centuries, it is found that, in the 10th century, reigning monarchs were often referred to with terms like jō 上, kinjō 今上, and shujō 主上. In many diaries, shujō appears far more frequently than tennō. However, tennō also appears with considerable frequency in other diaries, so it would be incorrect to claim that the title tennō was never used, or was rarely used, during the medieval period. Examining several examples, it seems likely that the title tennō was used for the Japanese monarch in the sense of a formal, institutional figure overseeing state affairs and ceremonies, a role that has existed since ancient times. Expressions such as kōke or kuge 公家, kokuō 國王, and kokushu 国主 also emerged in the late ancient period and early medieval period, reflecting the monarch's role as a ruler. However, after the establishment of the Kamakura shogunate, the term kōke evolved to represent the aristocratic or non-military nobility, in contrast to the buke 武家 or jike 寺家. Terms like kokuō and kokushu began to be used more specifically to refer to the Emperor Emeritus or the de facto rulers, such as the Hōjō clan 北条氏, who held power in the shogunate. As a result, the title tennō continued to be used to refer to the monarch's abstract, fundamental role and position as the sovereign ruler.

Ⅰ. 머리말

Ⅱ. 율령상 칭호의 실제

Ⅲ. ‘천황’ 칭호의 사용

Ⅳ. 군주를 지칭하는 ‘공가’

Ⅴ. ‘일본국주’, ‘일본국왕’ 문제

Ⅵ. 맺음말

로딩중