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세검색
최근 검색어 전체 삭제
다국어입력
즐겨찾기0
일본역사연구 제65집.jpg
KCI등재 학술저널

쇼와 천황과 조선 통치 - 섭정시대부터 우가키 총독 시기까지

Emperor Shōwa and the Rule of Korea: From the Regency Period to the Tenure of Governor-General Ugaki

DOI : 10.24939/KJH.2024.12.65.113

본 논문에서는 섭정시대부터 우가키 총독 시기까지 쇼와 천황의 식민지 통치를 살펴보았다. 쇼와 천황은 섭정시절부터 진강, 궁중측근의 조언, 식민지 시찰(대만, 사할린), 식민지 장관 및 척무대신의 보고, 궁중관료(시종)의 식민지 파견 등을 통해서 식민지에 대한 지식과 정보를 축적하여 교체가 빈번한 내각총리대신이나 척무대신보다 식민지 문제에 정통하게 되었다. 쇼와 천황이 즉위한 때는 정당 내각의 식민지 통치에 대한 영향력이 확대되어 식민지 통치의 ‘정당화’(政黨化)가 급진전되는 시기였다. 정당 내각 간 정권 교체로 식민지 총독의 지위가 불안정해졌고, 부정사건으로 조선총독이 검찰에 기소되는 초유의 사건이 발생해 조선총독의 위신은 땅에 떨어졌다. 나아가 쇼와 공황으로 인한 경제 위기와 광주학생운동, 무사사건(霧社事件) 등과 같은 식민지 민중들의 저항으로 정당내각의 식민지 통치는 일대 위기를 맞이했다. 이에 대해 쇼와 천황은 조선총독에 문관이 임용되는 것을 반대해 조선총독의 지위를 안정시키고 아버지 다이쇼 천황의 유훈인 일시동인을 강조하여 식민지 통치가 동요하는 것을 막으려 노력했다. 1930년대 중반 일본의 중국 침략이 일단락되고 경기가 회복되기 시작하자 쇼와 천황은 조선의 재정 독립을 주문하는 한편, 우가키 총독의 희망에 따라 조선 방문 의사를 표명하는 등 조선 통치에 깊은 관심을 보였다. 천황의 조선 방문은 우가키 총독의 사임으로 일단 중단되었다가 후임 총독인 미나미 총독에 의해 다시 추진되었다. 이처럼 쇼와 천황은 내각과 식민지 총독의 통치를 최종적으로 수동적으로 재가만 했던 것은 아니었다. 총독인사, 총독의 임용자격, 조선 행차 등 조선통치에 대해서 말씀(御言葉), 하문(御下問), 분부(御沙汰) 등의 형태로 적극적으로 자신의 의사를 내각과 식민지 총독에게 전달해 통치에 영향을 미쳤다.

This paper examines the colonial governance under Emperor Shōwa, from the regency period through the tenure of Governor-General Ugaki. Emperor Shōwa, from his time as regent, accumulated knowledge and information about the colonies through various means, including advice from court insiders, visits to colonies (Taiwan, Karahuto), reports from colonial ministers and military officials, and dispatches of court officials (chamberlains) to the colonies. As a result, he became more well-versed in colonial issues than the frequently changing prime ministers or colonial ministers. When Emperor Shōwa ascended to the throne, it was a period of intensified influence of political parties in the governance of the colonies, leading to the radical “party-ization” of colonial rule. The frequent changes in party-led cabinets destabilized the position of the colonial governors, and an unprecedented incident occurred when the Governor-General of Korea was indicted by the prosecution, causing a severe blow to the governor's prestige. Moreover, with the economic crisis brought on by the Shōwa depression, along with popular resistance movements in the colonies such as the Gwangju Student Movement and the Wushe Incident, the colonial governance of the political parties faced a major crisis. In response, Emperor Shōwa opposed the appointment of a civilian as the Governor-General of Korea, aiming to stabilize the position of the governor, and emphasized his father Taishō Emperor's imperial will for “temporary cooperation” to prevent instability in colonial governance. In the mid-1930s, as Japan's invasion of China came to an end and the economy began to recover, Emperor Shōwa expressed a strong interest in Korean governance, urging financial independence for Korea and, at the request of Governor-General Ugaki, showing his intention to visit Korea. The Emperor's visit to Korea was initially postponed due to Ugaki's resignation but was later revived under his successor, Governor-General Minami. In this way, Emperor Shōwa was not merely a passive figure who gave formal approval to the decisions of the cabinet and colonial governors. He actively communicated his intentions to the cabinet and colonial governors, influencing governance through speeches (御言葉), inquiries (御下問), and directives (御沙汰), including decisions on the appointment of governors, qualifications for the position, and plans for visits to Korea.

Ⅰ. 머리말

Ⅱ. 황태자·섭정 시대 : 식민통치의 학습기

Ⅲ. 다나카·하마구치 내각 시기의 조선 통치

Ⅳ. 우가키 총독 시기의 조선통치

Ⅴ. 맺음말

로딩중