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 논문의 연구 대상은 1920년대에 일본에서 나타나기 시작한 바라크(バラック)이다. 바라크의 물리적이고 법적인 출현 과정을 추적하면서, 바라크가 사회문제 및 도시정책의 대상으로 가시화되는 과정을 제국 일본과 전후 일본의 연장선 위에서 재구성하는 것을 목적으로 하고 있다. 이를 통해 제국의 건설과 붕괴가 패전 후 전후 일본의 생활 공간으로서 도시 공간 재정비 과정에 어떤 함의를 가지는가를 효고현 고베시를 중심으로 규명하고자 한다. “합법적인 위법 건축물”로 1923년 관동대지진 직후 나타난 바라크는 전후 폐허 속에서 암시장의 형태로 고베에서 대량으로 출몰하였다. 그러나 “고베형 개발주의”가 가동되는 1950년 후반에 바라크 밀집 지역은 비위생적인 공간, 불법적인 공간으로 가시화되었고, 선택적으로 철거 대상으로 재규정되었다. 전후 고베에서 전개된 바라크 밀집 지역 변천은 전전 식민지 도시계획 경험이 전후 일본으로 환류되면서 개발주의와 접목되는 과정이기도 하였다.
This paper examines the origins and transformations of barracks in modern Japan. The legal foundation for barracks emerged after the Great Kanto Earthquake of 1923, when their establishment was permitted to aid in the reconstruction of the disaster-affected areas. The immediate postwar period saw a resurgence of barracks in significant numbers. Focusing on the barrack areas in postwar Kobe, this paper argues that the criminalization of barracks is closely linked to the emergence of developmentalism, which is rooted in the prewar and wartime experiences of colonial spatial development.
Ⅰ. 머리말
Ⅱ. “합법적인 위법 건축물”: 바라크(バラック)의 출현과 진화
Ⅲ. 전후 바라크 밀집 지역과 “고베형 개발주의”: 불량지구에서 불법점거 거리로
Ⅳ. 맺음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