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 연구는 음절어의 형성 과정을 재검토하고 한자어 음절어의 한 유형인 ACE(<AB CDE)형 음절어의 형성에 대하여 살핀다. 음절어의 형성은 ‘선택+결합’을 거치는데 ‘선택’은 ‘선택[단어]’과 ‘선택[음절]’으로 구분된다. 전자는 원형식 전체를 대상으로 핵심적인 구성단어를 선별하는 작용이고, 후자는 구성단어에서 대표 음절을 가려 뽑는 작용이다. 그리고 이후의 ‘결합’은 선별된 대표 음절들이 의미변화 없이 형태만 새로운 단어를 형성하는 작용이 된다. 이때 결합은 원형식이 서술어구일 때 제한적으로 명사로의 범주적 변화를 일으킨다는 점에서 파생의 결합과 유사한 측면이 있다. 이를 바탕으로 ACE형 음절어의 형성에서 ‘C’가 보충적으로 선택되는 이유는 다음과 같이 설명할 수 있다. 첫째, 기존 2음절 한자어의 저지 현상을 회피하기 위함이다. 둘째, 접미한자어 ‘E’가 명확히 인식되게 하기 위함이다.
This study revisits the formation process of acronyms, and examines ACE-type Sino-Korean acronyms (derived from expressions structured AB CDE). The formation of these acronyms involves the process of “selection + combination.” The “selection” phase is divided into “Selection[word]” and “Selection[syllable].” The former entails selecting essential words from the entire original expression, while the latter identifies representative syllables within each selected word. The “combination” phase then involves merging the selected syllables to form a new word, which retains the original meaning but adopts a different form. When the original expression is a predicate phrase, this combination process may induce a limited nominal shift, bearing some similarity to derivation. Thus, the additional selection of “C” in the ACE-type acronyms can be explained by the following factors: (1) to avoid blocking by preexisting two-syllable Sino-Korean words, and (2) to ensure a clear recognition of the Sino-Korean suffixal “E.”
1. 서론
2. 음절어 형성의 ‘절단’과 ‘선택’
3. 음절어 형성의 ‘결합’
4. ACE형 음절어의 형성
5. 결론
참고논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