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고에서는 정연주(2017), 『구문의 자리채우미 ‘하다’ 연구』의 주요 내용을 소개하고 이견과 생각해 볼 문제들을 제시한다. 정연주(2017)에서는 구문 문법적 관점에서 인용 구문, ‘-고자’ 소망 구문, 자격 지정 구문, ‘-려고’ 의도 구문, ‘-도록’ 목적 구문의 ‘하다’가, 형식 연쇄에 의미가 연합된 덩어리로서의 구문 속에서 예측 가능성에 따라 의미적으로 잉여성을 띠게 된 서술어 자리를 채우는 요소인 자리채우미임을 주장하고, 그 근거들을 현대 한국어 자료 및 역사적 자료에서 찾아 제시하였다. 이러한 정연주(2017)의 논의는 ‘하다’의 기능에 대한 새로운 시각을 제공함과 동시에, 이질적인 양상을 보이는 여러 구문에 쓰인 ‘하다’의 기능을 보다 체계적으로 설명하고 있다는 점에 의의가 있다. 또한 자리채우미로서 ‘하다’의 기능을 밝히는 과정에서 이루어진 각 구문의 특징과 유형에 관한 다양하고 풍부한 논의들은 관련 연구들에 시사하는 바가 적지 않다. 다만, 인용 구문에서 인용 표지의 역할, 인용 구문의 ‘그러다’도 자리채우미일 가능성, 인용 구문과 여타 구문의 차이와 구문에 포함된 어미의 역할, 각 구문의 서술어 자리의 의미적 잉여성에 대해서는 의견을 달리하는바, 이러한 문제들에 대한 논의를 진행하였다.
The article is a review on Jeong(2017), A study on 'hata', a placeholder of constructions. Jeong(2017) argues that the Korean verb 'hata' in some constructions such as quotative constructions, '-koca' wish constructions, etc. functions as a placeholder which fills a semantically redundant verb slot when the verb is predicted. This is a total new view-point on the function of the verb 'hata' and provides more systematic explanation on the function of 'hata' in various constructions. This book also provides rich information on the types and the characteristics of various 'hata' constructions which have appeared on the history of the Korean language. Though, we can suggest different ideas on some issues; the quotative marker also plays an important role in informing the given construction is a quotative construction. The verb 'kuleta' also functions as a placeholder in a quotative construction. The constructions other than quotative constructions have endings and their meanings affect the whole constructions. The verb slot in each construction which is explained to be filled by the verb 'hata' is not semantically redundant.
1. 서론
2. 정연주(2017)의 구성과 주요 내용
3. 이견 및 생각해 볼 문제들
4. 결론
참고논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