화학사고 분류체계 개선 방안에 대한 연구
A Study on the Improvement of Chemical Accident Classification System
- 위기관리 이론과 실천
- 한국위기관리논집
- Vol.20 No.6
-
2024.0649 - 59 (11 pages)
-
DOI : 10.14251/crisisonomy.2024.20.6.49
- 이용수 20

초록
본 연구는 화학사고를 예방하고 피해 저감 방안 마련을 위해 화학사고 분류체계를 과학적이고 활용도높게 개선하고자 한다. 이를 위해 국내·외에서 발생한 재난 등 각종 안전사고의 분류현황을 조사하고화학사고와 관련한 분류 항목과 방법을 적용했다. 또한, 국내에서 발생한 화학사고 사례를 바탕으로재분석하여 분류체계의 활용성을 검증했다. 개선된 분류체계는 현재의 단편적인 분류체계에서 벗어나한가지 화학사고를 다각도로 분류하고 심층적으로 분석하기 위해 형태, 원인, 장소, 피해, 시간, 화학물질, 사고설비, 작업내용, 위반사항에 대한 9가지 항목으로 구분했다. 또한, 9개의 대분류 항목을 64개의중분류로 구분하고, 중분류를 60개의 소분류로 분류하여 세부원인 파악이 가능하도록 구성했다. 본연구의 결과물을 통해 구체적인 화학사고 통계데이터를 구축할 수 있으며, 이는 화학물질 취급시설과취급관리 강화 등과 같은 제도개선 및 화학사고 예방대책 수립을 위한 중요한 기초자료가 될 것이다.
This study has established a highly practical classification system to develop measures for reducing chemical accidents. Taxonomy for chemical accident was improved by investigating accident classification statuses domestically and internationally. And analyzed cases of chemical accidents that occurred domestically for validation. To analyze a single incident from multiple perspectives, it was categorized into 9 major classifications: type, cause, place, damage, date, substance, accident facility, work detail, and violations. The 9 items were classified into 64 categories, which were further subdivided into 60 sub-classifications to enable detailed identification of causes. This study is expected to provide important foundations for institutional improvements such as strengthening regulations on chemical handling facilities and management, as well as formulating preventice measures for chemical accidents.
목차
Ⅰ. 서론
Ⅱ. 연구 배경
Ⅲ. 연구 방법
Ⅳ. 연구 결과 및 고찰
Ⅴ. 결론
References
참고문헌 (35)
-
Jang, Nam Jin, Yi Yoon, Jong Won Yong, Jae Min Seo, En Sup Yoon /
2008 /
A Study of Development of Chemical Accident Tracking System /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Disaster Information /
4(2) /
124-136 /
-
Kim, Sung Bum, Myung Hee Lim, Sung Woon Choi /
2015 /
Comparison of Domestic Chemical Accident Investigation System /
Journal of the Korea Society of Disaster Information /
11(4) /
515-519 /
- Korea Gas Safety Corporation. 2022. Gas Accident Yearbook.
- Korea Occupational Safety and Health Agency. 2019. Styrene Monomer(SM) Safety Guide.
-
Lee, Kyu Yeol, Hong Min Kang, Ji Hun Jo, Jeong Ryul Kim, Seon Oh Park, Yong Sun Im /
2019 /
Hydrogen Sulfide in Wastewater Generated by Hydrogen Induced Cracking Test: Cause and Safety Measures /
Crisisonomy /
15(11) /
115-124 /
- Lee, Kyu Yeol, Ji Hun Jo, Seon Oh Park, Jin Woo Heo, Yong Sun Im / 2019 / A Study on Statistical Analysis of Chemical Accident Cases / Crisisonomy / 15(7) / 53-65 /
- Lee, Sun Ja. 2020. A Study on the Advancement of Safety Management for Preventing Chemical Accidents. Ph.D. Dissertation. Myongji University.
-
Lee, Tae Hyung, Deok Jae Lee, Chang Hyun Shin /
2017 /
Characteristic Analysis of Casualty Accidents in Chemical Accidents /
Korean Institute of Fire Science & Engineering /
31(1) /
81-88 /
- Ministry of Environment, Ministry of Emplyment and Labor, Seosan-si, Korea Environment Corporation, Korea Occupational Safety & Health Agency, Citizen Participation Group. 2019. Hanwha Total Oil Vapor Leak Accident Results of Joint Investigation by Related Agencies.
- Ministry of Environment. 2013. White Paper of Environment.
- National Disaster Management Research Institute. 2016. Analysis of Causes Chemical Accidents and Improvement Measures.
- National Institute of Advanced Industrial Science and Technology(AIST) and Japan Science and Technology Corporation(JST), RISCAD(Relational Information System for Chemical Accidents Database). http://ris cad.db.aist.go.jp/PHP_EN/.
- National Institute of Chemical Safety. 2023. Chemistry Safety Clearing-house. Retrieved from http://csc.me.go,kr.
-
Park, Ji Hoon, Seon Oh Park, Hyo Jin Park, Hye Ok Kwon /
2023 /
A Brief Review of the Legal Definition of Chemical Accident under the Current Chemical Substances Control Act /
Journal of Environmental Health Science /
49(4) /
179-182 /
- Park, Ju Hyun, Chul Hyo Bea, Keun Hwan Yoo, Chul Bum Lee / 2013 / A Study on Enhancement of Emergency Management /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Private Security / 12(1) / 97-120 /
- Park, Sang Bae. 2021. A Study on the Emergency Shut-off Device for Improving the Stability of Unloading Operation of Hydrogen Fluoride. Ph.D. Dissertation. Pukyong National University.
-
Park, Tae Yeon, Hui Jeong Han, Yong Kim, Soo Jung Kim /
2017 /
A Study on the Analysis and Improvement of Classifications for Integrated Management of Disaster and Safety Information /
Journal of the Korean Biblia Society for Library and Information Science /
28(3) /
125-150 /
- Wada, Yuji, Katsumi Katoh, Shoko Abe, Kaori Owa Heisig, Yuji Ogata / 2013 / Relational Information System for Chemical Accidents Database(RISCAD) with Analysis of Hydrogen Accident /
-
Yoo, Byung Tae /
2021 /
A Study on Improvement Safety Management through Chemical Accident Investigations /
Journal of the Society of Disaster Information /
17(3) /
403-414 /
- 국립재난안전연구원. 2016. 화학사고의 원인분석과 개선방안.
- 김성범, 임명희, 최성운. 2015. 국내 화학사고 조사제도 비교 연구. 한국재난정보학회 논문집. 11(4): 515-519.
- 박상배. 2021. 불화수소 이충전 작업의 안전성 향상을 위한 긴급차단장치에 관한 연구. 박사학위논문. 부경대학교.
- 박주현, 배철효, 유근환, 이철범. 2013. 재난관리의 효율화방안에 관한 연구. 한국민간경비학회. 12(1): 97-120.
-
박지훈, 박선오, 박효진, 권혜옥 /
2023 /
화학물질관리법상 화학사고 정의에 관한 소고 /
한국환경보건학회지 /
49(4) /
179-182 /
-
박태연, 한희정, 김용, 김수정 /
2017 /
재난안전정보의 통합 관리를 위한 분류체계 현황분석 및 개선방안에 관한 연구 /
한국비블리아학회지 /
28(3) /
125-150 /
- 유병태. 2021. 화학사고 원인 조사를 통한 화학물질 안전관리 개선방안 연구. 한국재난정보학회 논문집. 17(3): 403-414.
-
이규열, 강홍민, 조지훈, 김정렬, 박선오, 임용순 /
2019 /
수소유 기균열 시험 폐수의 황화수소 발생원인 분석 및 안전대책 /
Crisisonomy /
15(11) /
115-124 /
- 이규열, 조지훈, 박선오, 허진우, 임용순 / 2019 / 화학사고 사례의 통계분석에 관한 연구 / Crisisonomy / 15(7) / 53-65 /
- 이선자. 2020. 화학사고 예방을 위한 안전관리 선진화에 관한 연구. 박사학위논문. 명지대학교.
-
이태형, 이덕재, 신창현 /
2017 /
화학사고에 의한 인명사고 특성 분석에 관한 연구 /
한국화재소방학회 논문지 /
31(1) /
81-88 /
-
장남진, 윤이, 용종원, 서재민, 윤인섭 /
2008 /
화학사고 이력관리시스템 구축에 관한 연구 /
한국재난정보학회 논문집 /
4(2) /
124-136 /
- 한국가스안전공사. 2022. 가스사고연감.
- 한국산업안전보건공단. 2019. 스티렌모노머(SM) 안전가이드.
- 환경부, 고용노동부, 충청남도, 서산시, 한국환경공단, 안전보건공단, 시민참여단. 2019. 한화토탈 유증기 유출사고 관계기관 합동조사 결과.
- 환경부. 2013. 환경백서.
해당 권호 수록 논문 (13)
- 해바라기센터 운영 개선 과제 - 영국과 미국 센터 사례의 시사점을 중심으로
- 대형사고 예측을 위한 잠복성 진단기법에 관한 연구
- 소방 지휘훈련체계 개선방안에 대한 연구 - 영국 소방의 현장지휘기술(THINCS) 시스템 분석을 중심으로
- 제한적 보상체계에서 겪는 사회복지시설 종사자의 직무만족 - 사회적 자본의 조절효과와 세대별 차이
- 해외파병 준비요원의 스트레스가 조직몰입에 미치는 영향 - 웰니스의 매개역할
- 충남지역 사망·중상 교통사고 발생 영향요인 및 위험지역 분석
- 공공갈등 해결에 있어 ‘조정연계중재’의 활용 가능성에 대한 탐색적 연구 - 여주시 하동제일시장 갈등 사례를 중심으로
- 장애인 체육선수의 성폭력 피해 발생과 외상 후 스트레스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 헤크만 2단계 모형분석
- COVID-19 이후 대학생의 스트레스, 건강증진행위가 진로준비행동에 미치는 영향
- 시각 및 청각/언어 장애인의 SNS(Social Network Service)에 대한 자기 효능감 및 인지된 유용성에 미치는 영향요인 분석 - 시각 및 청각/언어 장애인의 SNS 사용 관련 요인분석
- 화학사고 분류체계 개선 방안에 대한 연구
- 자기표현 글쓰기를 활용한 온라인 상담이 대학생들의 스트레스 완화에 미치는 효과
- 한국위기관리논집(Crisisonomy) 제20권 제6호 목차