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세검색
최근 검색어 전체 삭제
다국어입력
즐겨찾기0
한국위기관리논집(Crisisonomy) Vol.20 No.6.jpg
KCI등재 학술저널

시각 및 청각/언어 장애인의 SNS(Social Network Service)에 대한 자기 효능감 및 인지된 유용성에 미치는 영향요인 분석 - 시각 및 청각/언어 장애인의 SNS 사용 관련 요인분석

Factors Influencing Self-efficacy and Perceived Usefulness of SNS for Individuals with Visual and Hearing/Language Impairments - Factors Related to Use of SNS for People with Visual and Hearing/Language Impairments

DOI : 10.14251/crisisonomy.2024.20.6.165
  • 5

본 연구는 2022년 4차 장애인삶패널조사를 활용한 이차 자료 분석으로, 시각장애인 79명과 청각/언어장애인 117명을 대상으로 그들의 SNS 사용에 영향을 미치는 SNS 자기효능감 그리고 SNS 인지된 유용성을 확인하고 그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들을 파악하고자 하였다. 대상자의 SNS 자기 효능감 그리고 SNS 인지된 유용성을 종속변수로 그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들을 파악하기 위하여 단계적 회귀분석(stepwise multiple regression)을 사용하였다. SNS 자기효능감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은 장애수용(p<.012)과 우울(p<.001)이었다. 장애 수용 점수가 높을수록, 우울하지 않은 경우 SNS 자기 효능감은 증가하였다. SNS 인지된 유용성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은 장애발생원인(p<.043), 우울(p<.001), 자아존중감(p=.016), 그리고가족건강성(p.=014)이었다. 후천적 장애, 우울한 경우, 자아존중감과 가족건강성이 낮을수록 SNS 인지된유용성이 감소하였다. 본 연구에서 도출된 요소들을 중심으로 SNS 이용의 사각지대에 놓인 시각 및청각/언어 장애인의 SNS 사용 어려움을 확인하고 이를 지원하기 위한 체계적이고 지속적인 노력이필요하다.

This cross-sectional study analyzed factors affecting self-efficacy and perceived usefulness related to SNS in people with visual and hearing/language impairments. 79 subjects with visual impairment and 117 subjects with hearing/speech impairments of 4th Disability and Life Dynamic Panel were included in this study. Multiple linear regression was used to identify factors affecting SNS self-efficacy and SNS perceived usefulness. As the impairment acceptance score increased(p<.012) and no-depression(p<.001), SNS self-efficacy was significantly increased. Factors affecting SNS perceived usefulness were cause of disability(p<.043), depression(p<.001), self-esteem(p=.016), and family health(p=.014). In the case of acquired impairment and depression, the perceived usefulness was decreased. As self-esteem and family health increased, SNS perceived usefulness increased. SNS self-efficacy increased in the case of congenital impairment, in the absence of depression, and as self-esteem and family health increased. It is necessary to develop and apply various programs to improve the use of SNS by people with impairments.

Ⅰ. 서론

Ⅱ. 연구 방법

Ⅲ. 연구 결과

Ⅳ. 논의

Ⅴ. 결론 및 제언

감사의 글

References

로딩중