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세검색
최근 검색어 전체 삭제
다국어입력
즐겨찾기0
동상정보연구 제26권 제4호.jpg
KCI등재 학술저널

Cluster Analysis of Paperless Trade Implementation in Customs Procedures: Case Study of Uzbekistan

DOI : 10.15798/kaici.2024.26.4.3
  • 10

본 연구는 통관에 있어서 전자무역 구현 수준을 파악하고, 이를 통해 향후 과제를 확인하기 위해서 우즈베키스탄과 싱가포르, 터키, 필리핀의 관세 관련 절차에 대해서 클러스터 분석 및 비교를 진행하였다. 이를 위해서 전자무역과 관련된 UN 지역 위원회(2015-2023)의 데이터를 기반으로 60개의 변수를 평가하였다. 연구 결과, 우즈베키스탄의 전자무역 구현 수준은 다수의 분야에서 비교국가에 비해 낮은 수준을 보이는 것으로 나타났는데, 이는 국가 무역 원활화 위원회의 부재, 전자 단일 창구 시스템의 미개발, 위험 관리 부족이 주요 원인으로 추정되었다. 이 연구를 통해서 우즈베키스탄이 전자무역 프레임워크를 발전시키고 글로벌 표준에 부합할 수 있는 로드맵을 제공하는 이론적, 실무적 기여를 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한다.

This paper provides cluster analysis and comparative analysis (Singapore, Turkey, and the Philippines) of trade facilitation implementation in customs related procedures of Uzbekistan. The study assesses 60 variables based on the data from UN Regional Commissions (2015-2023), related to paperless trade in customs. Major findings show significant gaps in Uzbekistan's trade facilitation adoption rate with the lack of a National Trade Facilitation Committee, underdeveloped electronic single window systems, and lack of risk management. Uzbekistan shows lower indicators than the comparison countries in certain areas. Our paper includes theoretical and practical contributions, providing a roadmap for Uzbekistan to advance its paperless trade framework and align with global standards.

Ⅰ. Introduction

Ⅱ. Literature Review

Ⅲ. Data and Methodology

Ⅳ. Result and Discussion

Ⅴ. Conclusion

References

로딩중