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세검색
최근 검색어 전체 삭제
다국어입력
즐겨찾기0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제25권 1호.jpg
KCI등재 학술저널

웰니스의 행복 개념에서 바라본 영유아의 수면과 영양의 의미: 아동건강교육 대학교재 내용 분석을 중심으로

The Meaning of Sleep and Nutrition of children from the Wellness Concept of Happyness: Focusing on the Analysis of the Contents of Children Health Education University Textbooks

DOI : 10.22251/jlcci.2025.25.1.99
  • 64

목적 본 연구는 예비보육교사들을 위한 아동건강교육 대학교재의 내용 분석을 통해 웰니스의 행복 철학에서 추구하는 영유아의 수면과 영양을 조명하여 중요성을 이해하고 새로운 의미를 부여함으로써 추후 교사양성을 위한 교사 정부 정책에 적극반영할 것을 목적으로 한다. 방법 이를 위해 2019 개정 누리과정 이후 출간한 아동건강교육 교재 17권을 분류체계 분석 방법으로 상위 영역에서 하위 영역의 범주로 도식화하여 분석하였으며, 엑셀 프로그램을 활용한 빈도 분석을 진행하였다. 또한, 수면과 영양의 의미 분석을 위해 선택적 코딩과 에틱 코딩 방법으로 자료를 분석하였다. 결과 첫째, 아동건강교육 대학교재의 대주제별 내용은 ‘아동 건강교육의 이론적 기초’, ‘아동 건강교육’, ‘아동 영양교육’, ‘아동 안전교육’, ‘아동 건강교육을 위한 기관의 시설 및 환경 관리, 가정 및 지역사회와의 연계’로 나타났다. 둘째, 세부영역별 내용은 각 교재마다 상이하게 나타났다. 셋째, 수면과 영양의 내용은 ‘수면의 이해’, ‘수면의 지원’, ‘영양의 이해’, ‘영양의 지원’으로 나타났다. 결론 본 연구의 결과를 통해 예비보육교사를 위한 아동건강교육 대학교재의 수면 및 영양에 관한 정부 정책에 기초자료를 제공하는 데 기여할 것으로 사료된다.

Objectives The study aims to actively reflect in teacher government policies for teacher training in the future by highlighting the sleep and nuturion of childhood and toddlers pursued in the philosophy of wellness happyness through the analysis of the contents of the university textbooks for child health education for pre-service teachers. Methods To this end, 17 children’s health education textbooks published after the 2019 Nuri curriculum were analyzed by schematizing them from upper to lower areas using a classification system analysis method, and a frequency analysis using an Excel program was conducted. In addition, data were analyzed using selective coding and etic coding methods to analyze the meaning of sleep and nutrition. Results First, it appeared as the theoretical basis of child health education, child health education, child nutrition education, child safety education, institutional facilities and environmental management for child health education, and connection with families and communities. Second, the weight of the contents of each textbook was found to be different. Third, sleep appeared as understanding and support of sleep, and nutrition appeared as understanding and support of nutrition. Conclusions It is believed that it will contribute to the provision of basic data presented in government policies on sleep and nutrition in the university textbooks for children's health education of teacher training.

Ⅰ. 서론

Ⅱ. 연구 방법

Ⅲ. 결과 및 해석

Ⅳ. 논의 및 결론

참고문헌

로딩중