해운·항만 산업의 적극적인 4차 산업 기술 접목 추세에 따라 항만의 형태는 완전 무인 자동화 항만으로 전환 및 개발되고 있다. 이러한 추세에 따라 빠르게 변화한 분야는 컨테이너터미널로 대부분의 자동화 컨테이너터미널은 내부 이송 장비로 AGV(Automated Guided Vehicle)를 채택하여 운영하고 있다. AGV의 운영은 작업 흐름 및 하역 장비의 효율과 직결되는데, 특히 안벽에서 이루어지는 안벽 크레인과 AGV 간의 하역 작업은 전체 터미널 생산성에 가장 큰 결정 요인으로 작용한다. 본 연구에서는 안벽크레인의 AGV 작업 레인 할당 방식들 간의 효율성을 비교하기 위해 시뮬레이션 모형을 개발하고, 그 효과를 분석하였다. 총 6가지 시나리오를 실험한 결과로 터미널 생산성에 있어 AGV의 작업 위치로의 진입 및 퇴로를 위한 주행 공간이 확보된 형태의 차선 운영 방식이 가장 효율적임을 확인하였다.
The shipping and port industry is actively incorporating fourth industrial technology, resulting in the transformation of ports into fully unmanned and automated facilities. One area that has undergone significant change in line with this trend is container terminals. Most automated container terminals now utilize AGVs (Automated Guided Vehicles) for internal transportation. The operation of AGVs directly impacts the efficiency of the workflow and handling equipment. Specifically, the loading and unloading operations between the quay crane and the AGV at the quay are the most significant factors influencing overall terminal productivity. This study developed a simulation model to compare the efficiency of different AGV work lane operation schemes for quay cranes and to analyze their effectiveness. After experimenting with a total of six scenarios, it was confirmed that the work lane operation scheme, which includes a designated driving space for AGV entry and exit to the working location, is the most efficient for terminal productivity.
1. 서 론
2. 선행연구 고찰
3. 자동화 컨테이너터미널 작업 프로세스
4. AGV 운영 시뮬레이션 모델
5. 실험 및 분석
6. 결 론
후 기
References
(0)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