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세검색
최근 검색어 전체 삭제
다국어입력
즐겨찾기0
학술저널

부동산 뉴스로 인한 심리적인지 요인이 전세가격에 미치는 영향 - 인천광역시 연립다세대 주택을 중심으로

Impact of psychological and cognitive factors caused by real estate news on Jeonse price : Focusing on Multi-family Housing in Incheon Metropolitan City

  • 135
대한부동산학회지 제74호.jpg

최근 부동산시장에서 금리 인상, 인플레이션, 경기 둔화 등 다양한 요인이 전세가격을 포함한 전반적인 부동산시장에 중요한 영향을 미치고 있으며, 특히 부동산 뉴스와 미디어는 여론 형성과 시장 심리에 실질적인 영향을 미치는 요소로 작용하고 있다. 이 연구는 인천광역시 연립다세대 주택을 대상으로 2019년 1월부터 2024년 3월까지의 부동산 뉴스를 활용해 전세 가격 상승기와 하락기를 나누어 심리적인지 요인이 전세가격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했다. 주택의 물리적 특성인 전용면적, 층, 사용 연수가 전세가격에 유의한 영향을 미쳤으며, 전세가격 상승기에 심리적인지 요인 중 ‘구속’이나 ‘가계’와 같은 이슈는 전세가격 하락 요인으로 작용하였고, 전세가격 하락기에 ‘대책’과 ‘공급’, ‘금리’는 상승 요인으로 작용하였으나 통계적으로 유의하지 않았다. 특히, 전세가격은 시장 내 수급 요인에 민감하게 반응하며, 심리적인지 요인이 중요한 역할을 한다는 점에서, 전세시장의 안정을 위해서는 시장의 특성을 고려한 뉴스 또는 여론 추이에 부합하는 접근이 필요함을 확인할 수 있었다. 마지막으로 물리적・경제적 요인보다 사회적・심리적 요인의 영향을 계량화하고 분석하여 심리적인지 요인의 중요성을 강조함으로써 실제 일어나고 있는 사회적 이슈와 여론의 변화가 전세시장에 미치는 영향을 실질적으로 탐색하였다는 점에서 학술적 의의를 두고 있다.

Recently, various factors such as interest rate hikes, inflation, and economic slowdowns in the real estate market have had a significant impact on the overall real estate market, including jeonse prices. In particular, real estate news and media have a substantial impact on public opinion formation and market sentiment. This study analyzed the impact of psychological cognitive factors on jeonse prices by dividing jeonse prices into rising and falling periods using real estate news from January 2019 to March 2024 for multi-family houses in Incheon Metropolitan City. The physical characteristics of the house, such as exclusive area, floor, and years of use, had a significant impact on jeonse prices. Among psychological cognitive factors, negative events such as ‘arrest’ or ‘police’ were factors that decreased jeonse prices, while ‘region’ and ‘rent’ were factors that increased jeonse prices, but the statistical significance was low. In particular, jeonse prices are sensitive to supply and demand factors in the market, and psychological cognitive factors play an important role. Therefore, it was confirmed that an approach that considers market characteristics and is consistent with news or public opinion trends is necessary to stabilize the jeonse market. Lastly, it is academically significant in that it quantifies and analyzes the influence of social and psychological factors rather than physical and economic factors, thereby emphasizing the importance of psychological cognitive factors and practically exploring the influence of actual social issues and changes in public opinion on the rental market.

Ⅰ. 서론

Ⅱ. 이론 및 선행연구 고찰

Ⅲ. 연구분석 틀

Ⅳ. 분석결과

Ⅴ. 결론

(0)

(0)

로딩중