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세검색
최근 검색어 전체 삭제
다국어입력
즐겨찾기0
학술저널

시차분포모형을 이용한 인구변화와 주택가격의 인과성 분석

An Analysis of the Causal Relationship between Population Changes and Housing Market using Lag Distribution Model

  • 29
대한부동산학회지 제74호.jpg

본 연구는 인구변화와 주택가격변동에 대한 인과성을 시차분포 모형과 그랜저 인과관계 검정을 실시해서 분석했다. 전체적인 분석 모형은 인구변화와 주택매매 및 주택전세 가격에 대한 시계열을 구축해서 모형을 추정해서 인과성을 분석했으며, 이를 기준으로 주택매매 및전세가격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들을 확인하는 분석을 실시했다. 먼저 주택매매가격과 인구변화의 인과성을 분석하였다. 분석결과는 주택매매가격과 혼인은 양방향으로 그랜저 인과성이 존재하였으며, 사망 및 출생은 일방향으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는 혼인은 주택매매가격과 상호 간에 영향을 미치는 반면, 사망과 출생은 주택매매가격이 사망에 영향을 주고 출생은 주택매매가격에 영향을 주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교차상관분석 결과 혼인은 2분기 후행, 사망과 출생은 각각 1분기에서 2분기 주택매매가격으 로부터 선행하고 있음을 보여주었다. 다음으로 주택전세가격과 인구변화의 인과성을 분석하였다. 분석결과는 인구구성 3요소 모두 양방향으로 그랜저 인과성이 존재하지 않는 것으로 나타났는데, 이는 사람들이 최소한 주택전세자금은 확보한 상태로 살기 때문에 주택매매가격 같이 민감하지 않기 때문인 것으로 생각된다. 교차상관분석 결과 사망과 혼인은 1분기에서 2분기까지 주택전세가격으로부터 후행하고 있었고, 출생은 2분기 선행하고 있음을 보여주었다. 본 연구의 결과 주택가격 변화 중 주택매매가격은 인구변화와 인과성이 있다는 점이 밝혀 졌지만 주택전세가격은 인구변화와 인과성이 없다는 점이 밝혀졌다. 따라서 앞으로 부동산시 장의 안정을 위해서는 인구변화를 면밀히 분석해서 이에 대처해야 한다는 정책적 시사점을 도출할 수 있었다.

This study analyzed the causality between population changes and housing price fluctuations by applying a distributed lag model and Granger causality test. First, the causality between housing sale prices and the three demographic factors was analyzed. The analysis results revealed that marriage and housing sale prices mutually influence each other, while housing sale prices affect mortality, and birth rates are influenced by housing sale prices. Next, the causality between housing lease prices (jeonse) and the three demographic factors was analyzed. The results showed no bidirectional Granger causality between housing lease prices and any of the three demographic factors. This indicates that birth rates, mortality, and marriage do not have mutual influences with housing lease prices. The findings of this study revealed that changes in housing sale prices have causality with demographic changes, whereas housing lease prices (jeonse) do not exhibit such causality. Therefore, a key policy implication is that demographic changes must be closely analyzed and addressed to ensure the stability of the real estate market in the future.

Ⅰ. 서론

Ⅱ. 이론적 고찰

Ⅲ. 분석의 틀

Ⅳ. 주택가격변화의 인과성에 대한 실증분석

Ⅴ. 결론

(0)

(0)

로딩중