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 연구는 학교 규모, 교육과정 수준, 장애 유형 및 정도와 같은 요인을 고려하여 한국 특수학교 시설·설비기준령과 일본 특별지원학교 설치기준을 비교 분석하였다. 이를 통해 특수교육대상학생에게 적합한 시설·설비 기준의 시사점을 도출하고 개선 방향을 제안하고자 하였다. 한국은 2019년 시행된 기준령을 통해 교지, 실습지, 교육 관련 시설, 안전 및 편의 시설 기준 등을 상세히 규정하고 있으나, 장애 유형별 또는 중도·중복장애 학생의 특성을 반영한 면적 기준은 부족하다. 반면, 일본은 2021년에 제정된 특별지원학교 설치 기준에서 지역적 상황에 따라 유연하게 적용할 수 있는 규정을 마련하고, 장애 유형 및 학생 수를 고려한 면적 기준과 중복장애 학생을 위한 가중치를 명확히 제시하고 있다. 그러나 일본의 기준은 학교 외부 인프라 및 설비에 대한 구체적인 지침이 부족하다는 한계를 가진다. 이 연구는 한국 특수학교 시설·설비 기준의 개선을 위해 다음과 같은 제언을 도출하였다. 첫째, 장애 유형별 및 중도·중복장애 학생의 특성을 반영한 시설·설비 기준을 마련해야 한다. 둘째, 교육과정 수준별로 면적 기준을 차등화해야 한다. 셋째, 지역적 특성과 학생 수를 반영한 유연한 기준 적용 방안을 강화해야 한다. 이 연구의 결과가 한국의 특수학교 시설·설비 기준을 개선하는 데 기초자료가 되어 특수교육대상학생에게 보다 나은 교육환경을 제공하고 교육의 질을 향상시키는 데 기여하기를 기대한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conduct a comparative analysis of the facilities and equipment standards for special schools in Korea and Japan, considering factors such as the type and degree of disability. The aim was to derive implications for appropriate facilities and equipment standards for students with disabilities and propose recommendations for improvement. The facilities and equipment standards in Republic of Korea, enacted in 2019, provide detailed regulations on school grounds, practice areas, educational facilities, and safety and convenience facilities. However, there is a lack of area standards that reflect the characteristics of students with different types of disabilities or multiple disabilities. In contrast, the Standards for Establishment of Schools for Special Needs Education in Japan, enacted in 2021, provide flexible regulations that can be applied according to regional circumstances. It also clearly presents area standards considering the type of disability and the number of students, as well as weights for students with multiple disabilities. However, it has a limitation in that it lacks specific guidelines for external school infrastructure and facilities. This study suggests the following improvements for the facilities and equipment standards of Korean special schools. First, it is necessary to establish standards that reflect the characteristics of students with different types of disabilities and multiple disabilities. Second, area standards should be differentiated according to the level of the curriculum. Third, it is necessary to strengthen flexible application methods that reflect regional circumstances and the number of students. It is expected that the results of this study will serve as a basis for improving the facilities and equipment standards of Korean special schools, thereby providing a better educational environment for students with disabilities and contributing to improving the quality of education.
Ⅰ. 서 론
Ⅱ. 한국 특수학교 시설·설비 기준 분석
Ⅲ. 일본 특별지원학교 설치 기준
Ⅳ. 논의 및 제언
참고문헌
(0)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