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무직 근로자의 영상표시단말기 증후군 예방행위 측정 도구개발
Development of a Tool to Measure VDT Syndrome Prevention Behavior in Office Workers
-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 제25권 2호
-
2025.01271 - 283 (13 pages)
-
DOI : 10.22251/jlcci.2025.25.2.271
- 이용수 33

초록
목적 본 연구의 목적은 사무직 근로자의 VDT(Visual Display Terminal) 증후군 예방 행위를 측정하는 도구를 개발하고, 도구의 타당도와 신뢰도를 검증하는 것이다. 방법 VDT 증후군 예방 행위에 대한 도구의 예비문항을 개발하고 사무직 근로자를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하였다. 최종 399부의 수집된 자료는 문항 분석, 탐색적 및 확인적 요인 분석, 준거 관련 타당도, 내적일관성을 사용하여 타당도 및 신뢰도를 검증하였다. 결과 최종 도구는 15개 문항과 3개 요인(신체적 자기관리, 스트레스 관리, 작업환경 관리)으로 구성되었으며, 분산의 61.4%를 설명했다. 확인적 요인 분석을 통해 15개 문항으로 구성된 이론적 모형이 모든 적합도 지수를 충족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도구와 VDT 증후군 자각증상 도구와 음의 상관관계를 확인하여 준거 관련 타당도를 확보하였다(r=-0.46, p<.001). 전체 도구의 Cronbach’s ⍺는 .91이었고, 하위 요인의 Cronbach’s ⍺ 는 .88~.76 범위였으며, 재검사 신뢰도는 .91이었고, 하위 요인의 신뢰도는 .73~.86 범위였다. 결론 이 도구는 사무직 근로자의 VDT 증후군에 대한 예방 행동을 측정하고 관리하는 데 사용할 수 있다.
Objectives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develop a tool to measure VDT (Visual Display Terminal) syndrome prevention behaviors for office workers, and to verify the scale's validity and reliability. Methods The subjects were 399 office workers. Data were analyzed using item analysis, exploratory and con firmatory factor analysis, criterion-related validity, and internal consistency. Results The final scale consisted of 15 items and three factors (physical self-care, stress management, and work environment management), which explained 61.4% of the variance. Confirmatory factor analysis indicated that the theoretical model consisting of 15 items satisfied all goodness-of-fit indices. Criterion-related validity was demonstrated by the VDT syndrome scale (r=-0.46, p<.001). The Cronbach’s alpha for the total scale was .91, with subscale values ranging from .88 to .76, and the test-retest reliability was .91, with subscale values ranging from .73 to .86. Conclusions This tool can be used to measure the preventive behaviors for VDT syndrome among office workers.
목차
Ⅰ. 서론
Ⅱ. 연구방법
Ⅲ. 연구 결과
Ⅳ. 논의 및 결론
참고문헌
참고문헌 (27)
- 건강보험심사평가원 (2024). 국민관심질환 통계: VDT 증후 군. https://opendata.hira.or.kr/op/opc/olapMfrnIntrsIlns BhvInfoTab1.do.에서 년 월 일 인출 2024 6 19 .
- 고용노동부 (2015). 영상표시단말기(VDT) 취급근로자 작업 관리지침. http://www.moel.go.kr.에서 년 월 2024 1 25 일 인출.
- 노경섭 (2014). 제대로 알고 쓰는 통계 분석: SPSS & AMOS 21. 서울 한빛아카데미 : .
-
문재동, 이민철, 김병우 /
1991 /
VDT 증후군 자각증상에 영향을 미치는 인자들에 관한 연구 /
예방의학회지 /
24 /
373-389 /
- 박종수 (2015). 컴퓨터 작업자의 직무 스트레스와 증 VDT 후군 간의 관계 조사 서울과학기술대학교대학원 석사 . 학위논문.
- 산업안전보건공단 (2012). 사무직 근로자의 직업 건강 지침 (IT 분야). https://kosha.or.kr/kosha/data/musculoskelet alPreventionData_A.do?mode=view&articleNo=29639 2#/list.에서 년 월 일 인출 2024 1 19 .
- 신윤영 / 2021 / VDT 작업 사무직 근로자의 근골격계 질환에 대한 지식 태도 및 작업 자세 습관 간의 관계 / 이화 여자대학교대학원 석사학위논문 /
-
정병용 /
2010 /
근골격계질환 예방과 인간공학의 역할 /
대한 인간공학회지 /
29 /
393-404 /
-
최영준, 황룡 /
2011 /
경추 및 흉추부 스트레칭 운동과 근력 강화 운동 프로그램이 머리 전방 자세에 미치는 효과 /
한국콘텐츠학회 논문지 /
11 /
293-300 /
-
Adane, F., Alamneh, Y. M., Desta, M. /
2022 /
Computer vision syndrome and predictors among computer users in Ethiopia: A systematic review and meta-analysis /
Tropical Medicine and Health /
50 /
26-37 /
-
Bhargava, R., Kumar, P., Phogat, H., Kaur, A., Kumar, M. /
2015 /
Oral omega-3 fatty acids treatment in computer vision syndrome related dry eye /
Contact Lens and Anterior Eye /
38 /
206-210 /
- CDC (2024). About ergonomics and work-related musculosk eletal disorders. Retrieved April 20, 2024, from https:// www.cdc.gov/niosh/ergonomics/about/?CDC_AAref_ Val=https://www.cdc.gov/niosh/topics/ergonomics/defa ult.html.
-
Cho, C. Y., Hwang, Y. S., Cherng, R. J. /
2012 /
Musculoskeletal symptoms and associated risk factors among office workers with high workload computer use /
Journal of Manipulative and Physiological Therapeutics /
35 /
534-540 /
- Cicchetti, D. V., Sparrow, S. A. / 1981 / Developing criteria for establishing interrater reliability of specific items: applications to assessment of adaptive behavior / American Journal of Mental Deficiency / 86 / 127-137 /
- Costello, A. B., Osborne, J. / 2019 / Best practices in exploratory factor analysis: Four recommendations for getting the most from your analysis / Practical Assessment, Research, and Evaluation / 10 / 7-16 /
- DeVellis, R. F., Thorpe, C. T. / 2021 / Scale development: Theory and applications / Sage Publications /
-
Hinkin, T. R. /
1998 /
A brief tutorial on the development of measures for use in survey questionnaires /
Organizational Research Methods /
1 /
104-121 /
-
Kim, T., Kang, M.Y., Yoo, M.S., Lee, D., Hong, Y.C. /
2016 /
Computer use at work is associated with self-reported depressive and anxiety disorder /
Annals of Occupational and Environmental Medicine /
28 /
57-64 /
-
Lee, J., Koo, J. W. /
2015 /
Occupational diseases among office workers and prevention strategies /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Ergonomics /
34 /
125-134 /
- Orem, D. E., Taylor, S. G., & Renpenning, K. M. (1995). Nursing: Concepts of practice. McGraw-Hill.
- OSHA (2019). Computer workstations eTool. United States Department of Labor. Retrieved April 20, 2023, https://www.osha.gov/etools/computer-workstations
-
Pavel, I. A., Bogdanici, C. M., Donica, V. C., Anton, N., Savu, B., Chiriac, C. P., Salavastru, S. C. /
2023 /
Computer vision syndrome: An ophthalmic pathology of the modern era /
Medicina (Kaunas) /
59 /
412-423 /
-
Polit, D. F., Beck, C. T. /
2006 /
The content validity index: Are you sure you know what's being reported? Critique and recommendations /
Research in Nursing & Health /
29 /
489-497 /
-
Putsa, B., Jalayondeja, W., Mekhora, K., Bhuanantanondh, P., Jalayondeja, C. /
2022 /
Factors associated with reduced risk of musculoskeletal disorders among office workers: A cross-sectional study 2017 to 2020 /
BMC Public Health /
22 /
1503 /
-
Ranasinghe, P., Wathurapatha, W. S., Perera, Y. S., Lamabadusuriya, D. A., Kulatunga, S., Jayawardana, N., Katulanda, P. /
2016 /
Computer vision syndrome among computer office workers in a developing country: An evaluation of prevalence and risk factors /
BMC Research Notes /
9 /
150-159 /
-
Sheikhhoseini, R., Shahrbanian, S., Sayyadi, P., O’Sullivan, K. /
2018 /
Effectiveness of therapeutic exercise on forward head posture: A systematic review and meta-analysis /
Journal of Manipulative and Physiological Therapeutics /
41 /
530-539 /
-
Yang, I. S., Kang, Y. /
2018 /
Self-care model based on the theory of unpleasant symptoms in patients with heart failure /
Applied Nursing Research /
43 /
10-17 /
해당 권호 수록 논문 (66)
- ‘문화적으로 반응하는 교수법(CRP)’에 대한 성찰이 우리나라 다문화 교육과정에 주는 시사점 탐색
- 중학생의 성별과 운동 빈도에 따른 체육수업 행복과 만족도 분석
- 국내 유아교육에서의 에듀테크 활용에 대한 유아교사와 예비 유아교사의 인식 조사
- 라이프로깅 유형에 따른 학습경험 차이분석: 스터디윗미와 공스타를 중심으로
- 외국인 유학생의 문화적응 스트레스 인식 수준이 학교생활 만족도에 미치는 영향: 학교지지의 조절효과
- 동적기하 환경에서 정사영에 관한 공간 능력 발현과 문제해결
- 성찰적 글쓰기 수업에서 ChatGPT 활용 여부에 따른 대학생의 쓰기효능감과 학업성취도의 비교 연구
- 영유아 교육기관의 보조교사에 대한 예비 영유아교사의 인식 연구: 은유분석과 면담을 중심으로
- 보육교사의 플로리시와 창의적 교수 효능감이 교사-유아 상호작용에 미치는 영향
- 간호대학생과 간호사 대상 심폐소생 교육 연구 동향 분석: 주제범위 문헌고찰
- 코로나19 전후 중장년의 우울 변화 궤적 분석: 근로 여부와 가족 형태에 따른 차이를 중심으로
- 중학교 정보영재 대상 심화학습 모형 기반의 인공지능 교육 프로그램 개발
- 응급구조학 전공학생의 가상현실(VR)기반 환자안전 시뮬레이션 교육경험
- 예방-교수-강화(PTR) 전략이 자폐성장애 유아의 부적절한 착석과 요구하기 행동에 미치는 효과
- 생성형 AI를 활용한 직무스트레스 미술치료 연구동향 분석 및 키워드 네트워크 분석
- 일본인 한국어 학습자를 위한 피동표현 연구: 오류 말뭉치를 중심으로
- 자기성찰을 경험한 상담자의 성장에 대한 자문화기술지
- 초등학생의 디지털리터러시 능력, 학습동기, 학습몰입, 수업만족의 구조 관계 연구
- 학교폭력 가해 행동에 대한 다차원적 접근: 학교 부적응의 매개 효과와 집단 간 차이 분석
- 베트남 결혼이주여성을 형상화한 소설의 독서 경험을 통한 대학원생의 다문화 인식 변화 연구
- 유아교사 놀이성과 교사-유아 상호작용이 놀이중심 교육과정 실행역량에 미치는 영향
- 부모의 부정적 양육태도, 우울, 스마트폰 과의존과 학업 무기력의 순차매개효과
- 모차르트 호른 협주곡 No. 4, K.495의 분석 연구
- 외국인 유학생의 성격5요인과 대학생활적응의 관계
- 무전공 대학 입학생의 긍정심리자본과 진로자기조절 간의 관계에서 그릿의 매개효과
- IB MYP 개인 프로젝트와 공동체 프로젝트를 기반한 중학교 핵심프로젝트 운영 방안 탐색
- 대학 수업에서 교수자의 생성형 AI 활용 가능성 탐색: 지양해야 할 과제와 지향해야 할 과제를 중심으로
- 문제해결식 토론 및 수업실연 중심의 놀이지도 수업이 예비교사의 놀이성, 놀이인식, 놀이교수효능감에 미치는 영향
- 범교과 학습 주제로 살펴본 학교 통일교육
- 대학의 비교과교육과정 개발·운영 사례 연구
- 화상 집단상담에서 상담자의 상담관계 어려움과 대처경험에 대한 현상학적 연구
- 초등학교 예비교사의 발명에 대한 인식과 이미지
- 중·고등학교 학생선수의 스포츠과학 지원 경험이 경쟁불안과 스포츠수행전략에 미치는 영향
- 사회적 기업가정신과 혁신 비즈니스 교육프로그램 개발연구
- 남성 직장인의 과도한 남성성과 우울과의 관계: 직장 내 괴롭힘 경험의 매개효과
- 청소년의 정서표현신념이 또래관계의 질에 미치는 영향: 자기방어적 양가성과 관계관여적 양가성의 매개효과
- 초·중등학교용 적응형 학습 플랫폼의 자기조절학습 지원 기능 분석
- 중학교 ‘음악’ 교과서 분석을 통한 교과 연계 및 학습 활동 유형의 비교
- 국내 중고등학교 여학생의 흡연 영향요인: 제19차 청소년 건강행태조사 이용
- 잠재전이분석을 활용한 유치원·초등학교 전환기 어머니의 양육스트레스 잠재집단 전이 양상과 영향 요인 검증
- 여성정신질환자의 지역사회전환시설 재활경험
- 공연예술 전공 대학생의 전환적 경험과 학업지속성의 관계에서 자아탄력성과 진로장벽의 직렬다중매개효과
- 보육교사의 교수창의성과 창의적 교수효능감이 놀이중심 교육과정 실행역량에 미치는 영향
- 유아교사의 교사핵심역량과 코칭역량과의 관계에서 교수효능감의 매개효과
- TPACK 발달 단계를 고려한 강의를 통해 나타난 초·중등 예비 교사의 테크놀로지 활용 수업에 관한 인식
- 어머니의 일-가정 양립 갈등이 아동의 미디어기기 과의존에 미치는 영향: 어머니의 우울과 권위주의적 양육 행동의 이중매개효과
- 집단상담에서 집단원의 자기대상욕구가 집단상담 성과에 미치는 영향 작업동맹의 종단적 매개효과
- 군대 성고충전문상담관의 소진 및 회복의 경험과 과정에 대한 근거이론 연구
- 원장의 감성리더십과 교사 잡크래프팅과의 관계에서 교사 직무스트레스와 행복감의 직렬다중매개효과
- 스트레스가 청소년의 정신건강에 미치는 영향: 고통감내력의 매개효과
- 초등사회과 모의수업에서 교수자 평가와 동료평가 비교: 지리영역을 중심으로
- 유아교사의 직무스트레스와 회복탄력성 간의 관계에서 교사효능감의 매개효과 및 직무스트레스 수준별 다집단 분석
- 초기 노년기 우울감과 심리적 안녕감의 관계에서 감사와 지혜의 순차적 매개효과
- 중·고등학생의 환경 교과 유용가치, 학습지속성, 진로준비행동의 잠재평균 비교
- 예비유아교사의 플립러닝 적용 수업 경험에 관한 질적 메타분석
- 간호대학생의 의사소통명확성과 간호실무준비도가 환자안전간호활동에 미치는 영향
- 읽기 이해 구술평가에 대한 중·고등학교 국어교사의 인식 조사
- 교사 관련 유아과학교육 연구 동향 분석: 2019-2023년 국내 학술지 논문 중심으로
- 학교상담자의 학교부적응 학생상담 어려움과 지원 방안 연구
- 대학생의 학업소진과 우울에 기여하는 심리적 메커니즘 연구: 평가염려 완벽주의, 학업지연행동, 실패공포, 자기구실 만들기를 중심으로
- 농어촌 소도시 고등학생들의 방과후학교 참여 경험에 대한 질적 사례 연구: 횡성군의 사례를 중심으로
- 텍스트 마이닝과 토픽 모델링을 활용한 COVID-19 이전 시기와 COVID-19 시기 대학생 진로 관련 언론기사 분석
- 사무직 근로자의 영상표시단말기 증후군 예방행위 측정 도구개발
- 상담 전공 학부생들의 내담자 경험 실습의 의미: 학생상담센터에서의 비대면 개인상담을 위주로
- 학습자 평가 기반 대학 교수자 수업역량 진단도구 개발
-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제25권 2호 목차