식민지 도시에서는 지배민족의 공간과 피지배민족의 공간이라는 이중구조가 나타난다. 양자의 대조는, 식민지 권력의 우월성과 관계의 비대칭성을 나타내기 위한 공간적 장치였다. 식민통치의 핵심 공간으로 제국의 우월성과 지배의 정당성을 현시해야 하는 식민지 권력기관의 입지는 지배민족의 공간에 위치하는 것이 일반적이었다. 조선총독부는 신청사의 입지를 경복궁으로 결정했다. 이는 지배민족 거주지를 벗어나 피지배민족 거주지로 이전한 것으로 특이한 사례였다. 주요 공공기관의 이전, 총독부 및 공공기관 관사의 입지, 택지 개발 과정에서의 ‘혼주’에 대한 입장 등을 보면, 총독부가 일정 정도의 혼주를 의도했던 것으로 보인다. 실제 혼주가 이루어졌다고 보기는 어려웠으나, 거주지 분리의 정도는 비교적 약했다. 총독부가 일본인이 조선인과 교류하며 거주하는 혼주를 의도했다기보다는, 거주지 분리에 대한 집착이 약했다는 정도로 볼 수 있다. 이는 명확한 거주지 분리를 통해 지배민족 공간의 우월성을 현시하는 것이 불가능하다는 점에서 다른 식민지와 분명한 차이점이 있었다. 즉, 식민권력 기관의 위용을 과시하는 것과, 지배민족 거주지의 근대성을 과시하는 것이 다른 식민지 도시에서는 서로 연결되어 같은 공간에서 이루어졌으나, 경성에서는 그렇지 못하였다.
In colonial cities, the dual structure of the space of the ruling nation and the space of the ruled nation appears. The contrast between the two was a spatial device to indicate the superiority of colonial power and the asymmetry of the relationship. It was common for colonial power institutions to be located in the space of the ruling nation, which must demonstrate the superiority and legitimacy of the empire as a core space of colonial rule. The Japanese Government-General of Korea decided to establish Gyeongbokgung Palace as the location of the new building. This was an unusual example of moving out of the dominant ethnic residence to the dominated ethnic residence. Looking at the relocation of major public institutions, the location of the Governor-General and public institution officials, and the position on ‘mixed residence’ in the housing site development process, it seems that the Governor-General intended to be a certain degree of mixed residence. It was difficult to say that the actual mixed residence was achieved, but the degree of separation of residence was relatively weak. Rather than the Governor-General’s intention to be a mixed residence in which the Japanese interacted with the Koreans and lived, it can be seen that the obsession with the separation of residence was weak. This differed clearly from other colonies in that it was impossible to demonstrate the superiority of the dominant ethnic space through clear separation of residence. In other words, showing off the prestige of the colonial authority and the modernity of the dominant ethnic residence were connected to each other in other colonial cities and performed in the same space, but not in Gyeongseong.
Ⅰ. 머리말
Ⅱ. 식민지 권력기관의 입지: 다른 식민지의 사례
Ⅲ. 조선총독부 청사의 입지와 거주지 분리
Ⅳ. 맺음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