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언어 네트워크를 통한 교육격차 연구동향 분석
Analyzing Semantic Networks for Trends in Education Gap Research
- 사단법인 한국안전문화학회
- 안전문화연구
- 제38호
- : KCI등재
- 2025.01
- 135 - 156 (22 pages)
이 연구의 목적은 국내 교육격차연구의 흐름과 축을 발견하고 핵심적으로 탐구해 온 개념들의 구조를 살펴보는 것이다. 교육격차 연구동향의 언어 네트워크를 분석함으로써, 선행연구에서 교육격차와 연관해 다루어진 핵심어의 출현경향과 그 언어들이 구성하는 네트워크를 검토하였다. 이를 통해 관련 선행연구가 교육격차에 접근하는 관점을 탐색하고 비교논의를 제시하며 교육격차 완화를 위한 시사점을 찾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2004년부터 2024년까지 발표된 연구물 257편에서 다루어진 단어를 추출해 출현빈도, TF-IDF, 동시 출현빈도를 분석하고 시기별 단어출현경향을 비교했다. 또한 언어 네트워크의 속성과 중심성, 시기별 군집분석을 시행하여 시기별 연구동향의 흐름을 탐색하였다. 연구결과 첫째, 교육격차 연구에서는 ‘교육격차’, ‘학생’, ‘교육’, ‘사회’, ‘교사’, ‘부모’, ‘사회경제적 배경’이 지속적으로 자주 다루어졌으며 시기별 출현경향의 차별성이 확인되었다. 둘째, 전체 네트워크는 200개의 노드, 19,350개의 링크로 구성되었으며 교육의 체제와 성취, 차이의 계층화, 가족 관련 변인, 사회적 현상과 움직임을 드러내는 단어들이 높은 중심성을 보였다. 셋째, 시기별 언어 네트워크에서 2004년-2010년에는 ‘지역’, ‘교육격차’, ‘정책’, ‘해소’, ‘지원’이, 2011년-2017년에는 ‘교육격차’, ‘학교’, ‘학업성취도’, ‘부모’, ‘사회경제적 배경’이, 2018년-2024년에는 ‘교육격차’, ‘학생’, ‘교육’, ‘코로나19’, ‘정책’이 주요 단어로 확인되었다. 이 연구는 교육격차연구에서 중점이 된 개념들의 구조와 시기별 차별성을 탐색함으로써 선행연구가 가족, 학교, 지역과 얽힌 문제로 교육격차를 탐구하고 사회 계층화와 불평등, 양극화와 연결된 현상으로 정책적 지원을 위한 움직임을 이어왔음을 발견하였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discover the trends and axes of education gap research and to examine the structure of concepts. Through network analysis, this study examined the emergence of key words in research and the networks they form. This was done to explore the perspectives of research, provide a comparative discussion, and identify implications. For this purpose, the word frequency, TF-IDF, and co-occurrence frequencies of 257 studies published from 2004 to 2024 were analyzed and compared, and the network properties, centrality, and CONCOR analysis were conducted to explore temporal trends. The results of the study showed, first, that 'educational gap', 'student', 'education', 'society', 'teacher', 'parent', and 'socioeconomic background', 'Korea' were consistently frequent, with differential trends in appearance over time. Second, the network consisted of 200 nodes and 19,350 links, with a high centrality of words that represent educational systems and achievement, stratification of differences, family variables, and social phenomena and movements. Third, 'region', ' education gap', 'policy', 'closing', and 'support' were identified as key words in 2004-2010; 'education gap', 'school', 'academic achievement', 'parents', and 'socioeconomic background' in 2011-2017; and 'students', 'society', 'school', 'COVID-19', 'policy', and 'educational inequality' in 2018-2024. By exploring the structure and temporal variation of these key concepts, this study found that education gaps have been explored as an issue that is connected to families, schools, and regions, and has been mobilized for policy support as a phenomenon linked to social stratification, inequality, and polarization.
Ⅰ. 서 론
Ⅱ. 이론적 배경
Ⅲ. 연구방법
Ⅳ. 연구결과
Ⅴ. 논의 및 제언
참고문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