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세검색
최근 검색어 전체 삭제
다국어입력
즐겨찾기0
영남고고학 제101호.jpg
KCI등재 학술저널

원삼국·야요이시대 후기 쓰시마(對馬) 교역 양상 연구 - 對馬 출토 한반도계토기를 중심으로

A Study on the Trade Aspects of Tsushima (對馬) in the Proto-Three Kingdoms and Yayoi Late Periods : Focusing on Korean Peninsula type Pottery Excavated from Tsushima

DOI : 10.47417/yar.2025.101.61
  • 29

원삼국·야요이시대, 동아시아 교역망의 재편으로 쓰시마(對馬)는 이전과 다른 교역상의 역할이 부여되기 시작했다. 이러한 변화는 쓰시마 교역을 대한해협에서 벗어나 동아시아 차원에서 접근해야 할 필요성을시사한다. 본 연구는 한반도계토기를 중심으로 쓰시마의 교역 양상을 구조적으로 분석하여, 종래 주목되지못했던 쓰시마의 역할론을 입체적으로 조망하기 위한 목적으로 작성되었다. 이를 위해 소지역권을 설정하고 한반도계토기의 출토맥락, 계통, 수량, 시기 등을 비교 척도로 삼아, 중심성, 지역성, 중층성의 세 측면에서 구조적 접근을 시도하였다. 이를 통해 중심센터 도출과 함께 지역단위 간의 차이를 파악하고 교역의 목적과 성격에 따른 기능 분화를 확인하였으며, 계통에 따른 교역의 중층성과 그성립양상을 밝혀낼 수 있었다. 이렇게 도출한 특성을 일본열도 출토 한반도계토기와 비교 검토한 결과, 시기에 따른 유입의 증감 양상은 유사하나 소비 패턴에서는 뚜렷한 차이를 지적할 수 있었다. 즉, ‘부장’이라는 교역 구조 특유의 패턴을 밝히고 쓰시마인들이 독자적으로 형성시킨 습속임을 타진함으로써, 전체 교역망 내에서 차지하는 위치와 독특한 특질을 도출할 수 있었다. 본 연구는 쓰시마 출토 한반도계토기의 ‘양적 한계’로 인해 교역상의 역할과 성격을 주목하기 어려웠던기존의 문제를 ‘질적 특성’으로 전환할 수 있는 새로운 가능성을 제시하고 있다. 이와 함께 동아시아 교류네트워크 변화 속에 새롭게 창출된 교역의 ‘수요’에 쓰시마인들이 어떻게 대응했는지를 고찰해냄으로써, 이 시기 한·일 교류 연구의 공백을 메우고 대한해협을 둘러싼 교역 양상에 새로운 관점을 제시하고 있다.

During the Proto-Three Kingdoms (原三國) and Yayoi (弥生) periods, Tsushima (對馬) began to assume a new role within the restructured East Asian trade networks. This transformation indicates the necessity of approaching Tsushima not only in the context of Korea Strait (大韓海峽) interactions but from a broader East Asian perspective. This study aims to structurally analyze the trade patterns of Tsushima, focusing on Korean Peninsula-type pottery (韓國半島系土器) excavated from the region, offering a more multifaceted view of Tsushima's previously overlooked role. The study compares the typology, context, quantity, and chronology of Korean Peninsula-type pottery excavated in Tsushima as metrics for analysis. A structural approach based on centrality (中 心性), regionality (地域性), and multilayeredness (中層性) was adopted. The results reveal distinct patterns between central trade centers and local units, showing functional differentiation based on the purpose and nature of trade. Furthermore, multilayered trade patterns based on the provenance of pottery were identified. Through a comparative analysis with pottery found in the Japanese archipelago, it was noted that while influx trends were similar chronologically, there were distinct differences in consumption patterns, revealing Tsushima’s unique “burial” trade structure. This suggests customs independently developed by the people of Tsushima. This study offers a novel interpretation of the limitations in the influx of Korean Peninsula-type pottery, proposing a qualitative approach to understand Tsushima’s role. By examining how Tsushima responded to new trade demands arising from changes in the East Asian network, the study fills gaps in the study of Korea-Japan exchanges, offering new perspectives on the trade dynamics around the Korea Strait.

Ⅰ. 들어가며

Ⅱ. 연구배경 및 관점

Ⅲ. 한반도계토기 출토양상 검토

Ⅳ. 쓰시마 교역 양상 분석

Ⅴ. 일본열도 출토 한반도계토기와의 비교 검토

Ⅵ. 쓰시마 교역의 특질 - 맺음말을 대신하여

로딩중