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지방공무원의 공직가치와 공직만족도 간의 관계 - 공공봉사동기의 매개효과를 중심으로
The Impact of Public Service Values on Occupational Satisfaction in the Public Sector : Focusing on the Mediating Role of Public Service Motivation
기존 연구들이 공직가치와 직무만족 간의 관계를 연구하였으나, 이 연구는 개인-조직 적합성 이론이 말하는 것처럼 직무와 직업적 요소는 다른 개념이라는 주장을 기반으로 공직가치와 공직만족도간의 관계를 중심으로 실증적 연구를 실시하였다. 추가적으로 행정학의 고유한 동기부여이론 중의 하나인 공공봉사동기 개념을 활용하여 공직가치와 공직만족도 간의 잠재되어진 매커니즘을 밝히고자 한다. 따라서 이 연구는 두 개의 연구질문을 갖는다: 1) 공직가치가 공직만족도에 긍정적인 영향을 줄 것인가? 2) 공공봉사동기가 공직가치와 공직만족도간의 관계를 매개하는가? 연구질문에 대한 답을 찾기 위해서 한국행정연구원의 「2023년 공직생활실태조사」 자료 내 지방자치단체 공직자를 대상으로 구조방정식 모형을 통해서 연구가설을 검증하였다. 연구 결과, 총효과에서는 공직가치는 공직만족도에 통계적으로 유의미하게 양(+)의 영향을 준다는 것을 확인하였다. 특히 공공봉사동기가 공직가치와 공직만족도 간의 관계를 완전 매개함을 확인할 수 있었다.
A wealth of prior research has examined the link between public service values and job satisfaction. This study, however, seeks to investigate this relationship through the lens of person-organization fit theory, specifically focusing on occupational satisfaction within the public sector. Moreover, it aims to reveal the mechanisms underlying the relationship between public service values and public-sector occupational satisfaction, employing the concept of public service motivation—a motivational framework unique to public administration. This study thus poses two central research questions: (1) Do public service values positively influence public-sector occupational satisfaction? and (2) Does public service motivation mediate the relationship between public service values and the satisfaction in the public sector? To address these questions, data from the 2023 Public Employee Survey by the Korea Institute of Public Administration were analyzed using structural equation modeling to test the proposed hypotheses. The findings confirmed that public service values have a statistically significant positive effect on public-sector occupational satisfaction. Furthermore, public service motivation was found to fully mediate the relationship between public service values and public-sector occupational satisfaction.
Ⅰ. 서 론
Ⅱ. 문헌연구 및 연구가설
Ⅲ. 연구방법론
Ⅳ. 연구결과
Ⅴ. 결론 및 함의
참고문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