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세검색
최근 검색어 전체 삭제
다국어입력
즐겨찾기0
Journal

The Impact of Music & Imagery-Based Online Music Listening on the Emotional Responses of University Students

음악과 심상(Music & Imagery) 기반의 비대면 음악 감상이 대학생의 정서 반응에 미치는 영향

  • 46
통합치료연구 제16권 제1호.jpg

이 연구는 온라인 교양 수업을 수강하는 1, 2학년 대학생 133명을 대상으로, 비대면 환경에서 음악과 심상(Music & Imagery)을 적용한 음악 감상(이하 MI 음악 감상)을 실시하여 학생들의 정서 반응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하였다. 참여자들은 음악 감상에 앞서 간단한 신체 이완을 거친 후 클래식 음악과 뉴에이지 음악을 포함한 총 3곡을 감상하였다. 설문 결과, 도입부 신체 이완 유도 시의 높았던 ‘긴장’과 ‘불안’이 MI 음악 감상 후 현저히 감소하였으며, ‘편안함’, ‘이완’, ‘평화로움’과 같은 긍정적 정서는 MI 음악 감상 후 유의미하게 증가하였다. 이는 MI 음악 감상이 기존의 배경음악처럼 단순히 듣는 방식과 달리, 구조화된 음악 감상을 통해 새로운 긍정적 정서를 유발할 수 있음을 시사한다. 본 연구는 MI 기법을 적용한 비대면 음악 감상이 대학생들의 정서적 반응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칠 수 있음을 제시하며, 이는 음악 심리치료 기법을 결합한 음악 중재가 음악 교육 현장을 포함한 다학문적 영역으로 확장될 수 있는 가능성을 제공한다.

This study analyzed the emotional responses of 133 first- and second-year university students enrolled in an online liberal arts course, by applying Music and Imagery(MI) techniques to music listening in a virtual environment. Participants listened to a total of three pieces of music, including classical and new age music, after a brief relaxation exercise. The survey results showed a significant reduction in feelings of 'tension' and 'anxiety' following the MI music listening activity, which were initially present during the physical relaxation phase. In contrast, positive emotions such as 'calmness,' 'relaxation,' and 'peacefulness' showed a statistically significant increase after the MI music listening. This suggests that, unlike the conventional way of passively listening to background music, MI music listening can evoke new positive emotions through structured music listening. This study suggests that online music listening incorporating the MI technique can positively influence the emotional responses of university students, providing potential for music-based interventions that integrate music therapy techniques to be expanded into interdisciplinary fields, including music education.

Ⅰ. 서론

Ⅱ. 연구 방법

Ⅲ. 연구 결과

Ⅳ. 결론 및 제언

참고문헌

(0)

(0)

로딩중