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 연구의 목적은 국내 코칭 프로그램 연구를 분석하여 연구 동향을 정리하고, 향후 연구 방향을 제시하기 위한 것이다. 이를 위한 분석 대상은 2007년부터 2024년까지 국내 학술지에 게재된 코칭 프로그램 관련 연구 131편이었고, 크게 전반적 연구현황과 세부 분석현황으로 나누어 분석을 수행했다.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전반적인 연구현황을 살펴보면 첫째, 코칭 프로그램 관련 논문 발간이 꾸준한 추세를 보였다. 둘째, 연구설계 (유형)는 양적 연구가 많았고, 그중에서도 실험연구 형태가 가장 많았다. 마지막, 분석 수준은 개인과 성인이 많았으며, 라이프 코칭에 초점을 맞춘 코칭 프로그램 논문이 가장 많았다. 세부적인 분석현황을 살펴보면 첫째, 분석 대상 논문 중 29편에서 18개의 코칭 모델을 제시했다. 둘째, 코칭 프로그램 개발할 때 시간은 20시간, 회기는 8회기로 구성한 프로그램이 가장 많았다. 셋째, 코칭 프로그램에 가장 많이 활용된 코칭 기술은 경청, 질문, 피드백, 인정이었고, 코칭 대화 모델은 분석 논문 중 30편의 논문에서 9개의 모델을 제시했다. 마지막으로 코칭 프로그램 효과 측정을 위해 활용된 변수는 평균 9개로 나타났고, 구체적으로는 효능감, 학습(학업), 진로, 행동, 리더십 순서로 많이 활용되었다. 본 연구는 코칭 확산과 코칭 프로그램 개발 작업이 불가분의 관계에 있음에도 코칭 프로그램 개발 방법 전반을 본격적으로 다룬 선행연구가 거의 없다는 현실을 극복하고자 진행되었다. 그래서 코칭 프로그램 개발의 질적 향상과 전문성 확보를 위해 국내 코칭 프로그램 연구 동향을 분석했고, 이를 통해 코칭 프로그램 개발에 필요한 세부적인 기준을 외적인 기준(코칭 시간, 코칭 회기, 측정도구)과 내적인 기준(코칭 정의, 코칭 모델, 코칭 대화 모델, 코칭 기술, 코칭 역량, 코칭 윤리)으로 제안했다. 하지만 본 연구는 분석 대상 논문 선정, 분석 틀과 분류 및 해석과정에서 연구자의 주관성을 완전히 배제할 수 없었다는 한계가 있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analyze research on domestic coaching programs, identify research trends, and propose directions for future studies. The analysis focuses on 131 studies related to coaching programs published in Korean academic journals between 2007 and 2024. The analysis is broadly categorized into an overview of the research landscape and a detailed examination of specific aspects. The research results are as follows. Looking at the overall research status, first, the publication of papers related to coaching programs showed a steady trend. Second, the research design(type) was mostly quantitative, and among them, experimental research was the most common. Lastly, the level of analysis was mostly individual and adult, with the most coaching program papers focusing on life coaching. Looking at the detailed analysis status, first, 18 coaching models were presented in 29 of the papers subject to analysis. Second, when developing coaching programs, most programs consisted of 20 hours and 8 sessions. Third, the coaching skills most used in the coaching program were listening, questioning, feedback, and recognition, and nine coaching conversation models were presented in 30 papers among the analyzed papers. Lastly, an average of 3 variables were used to measure the effectiveness of the coaching program, and specifically, they were most frequently used in the order of efficacy, learning(academics), career path, behavior, and leadership. This study was conducted out of concern that, despite the inseparable connection between the spread of coaching and the development of coaching programs, there has been limited research addressing comprehensive methods for coaching program development. To enhance the quality of coaching program development and ensure expertise, this study analyzed trends in domestic coaching program research. Based on this analysis, detailed criteria necessary for coaching program development were identified, categorized into external standards(such as coaching duration, number of sessions, and measurement tools) and internal standards(including coaching definitions, coaching models, coaching conversation frameworks, coaching skills, coaching competencies, and coaching ethics). However, this study has a limitation in that it could not fully eliminate the researcher’s subjectivity in selecting the papers for analysis, defining the analysis framework, categorization, and interpretation processes.
Ⅰ. 서론
Ⅱ. 이론적 배경
Ⅲ. 분석 대상 및 분석 틀
Ⅳ. 코칭 프로그램 연구현황
Ⅴ. 결론 및 논의
참고문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