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군 소부대의 유·무인 복합전투체계는 다양한 환경과 전장의 불확실성에서 전투수행이 가능한 전투체계들을 통해 소부대 지휘자가 자신이 보유한 장비와 화력의 능력을 활용하여 지휘, 결심, 타격 시간 단축을 통한 ‘빠른 템포의 전투’가 예상된다. 한반도의 미래 작전환경은 점차 고도화 되어가는 북한지역의 지하시설과 지탱점을 포함하여 메가시티환경에서 작전을 수행하게 될 것이다. 따라서 다영역작전 수행능력을 극대화하여 ‘선견, 선결, 선타, 방호, 지원’의 패러다임을 지속적으로 발전시켜 전투 및 전술상황에 적용해야 한다. 또한 지상군만의 작전이 아닌 육, 해, 공군의 자산과 소부대들과의 연계성을 위한 합동성을 고민하고 적용하여 모듈화되어 편조를 통한 모자이크전이 가능한 부대구조의 발전이 요구된다.
The Korean military's manned and unmanned combat system is expected to be a “Higr-tempo battle” through shortening the time of command, determination, and hitting by utilizing the capabilities of its equipment and fire power. The future operating environment of the Korean Peninsula will operate in a mega-city environment, including underground facilities and support points in North Korea, which are increasingly advanced. Therefore, it is necessary to maximize the ability to carry out MDO operations and continuously develop the paradigm of 'prediction, decision, batting, protection, and support' and apply it to combat and tactical situations. In addition, it is necessary to develop an auxiliary structure that is modularized and capable of mosaic warfare through organization by considering and applying cooperation for connecting the assets of the Army, Navy, and air force and small units, not just ground forces.
Ⅰ. 서론
Ⅱ. 미래 소부대 전장환경
Ⅲ. 다영역작전을 수행하는 유·무인 복합전투체계 발전 방향
Ⅳ. 결론
Reference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