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3년 9월 18일 경찰청 보도자료에 따르면 경찰청 조직재편 추진과 일선현장 치안역량 강화를 위해 경찰조직을 범죄예방과 대응 중심으로 재정비 한다고 밝혔다. 이러한 경찰조직 재편은 조직구성원들로 하여금 반발과 우려로 이어질 수 있으며, 정부 대책 및 경찰조직 재편안 등의 실효성에 대한 의문이 대두되고 있다. 경찰공무원의 환경적합성과 혁신행동의 관계에 대한 연구의 수는 많지 않고 제한적이며, 혁신행동과 관련한 개인-환경적합성에 대한 연구 또한 찾아보기 힘들다. 이 연구는 경찰공무원들의 혁신행동과 창의적인 아이디어 개발에 대한 이해를 높이고, 이를 통해 경찰조직의 업무수행 효율성과 품질 향상에 기여할 수 있는 방안을 제시하는 것을 목표로 한다. 이 연구를 통해 경찰공무원의 혁신행동과 창의성을 높일 수 있는 전략과 도구를 탐색하고, 이를 실제 현장에서 적용할 수 있는 가이드라인을 제시하고자 한다. 분석방법은 독립변수인 개인-환경 적합성이 혁신행동에 미치는 영향과 단계별로 설명력이 어떻게 변화하는지를 살펴보기 위하여 다중회귀분석 및 위계적 회귀분석을 실시하였다. 위계적 회귀분석결과 모형4의 통제변수 중 근무기간(=.15, p<.05)이 통계적으로 유의하였고, 직무적합성(=.50, p<.001), 상사적합성(=.15, p<.001)은 모두 혁신행동에 유의한 정(+)의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연구결과를 통해 개인-환경적합성이 혁신행동에 대해 긍정적인 영향을 미친다는 것을 규명함으로써 많은 선행연구들에서 논의된 변수 간의 영향관계를 경험적으로 입증하였다. 이를 바탕으로 개인-환경적합성을 높일수록 혁신행동을 향상시킬 수 있다는 정책적 제언이 가능해졌다. 급속도로 변화하는 치안환경에 대응하여 경찰공무원 스스로 혁신적인 업무행동을 하도록 유도하여 경찰조직의 발전과 조직성과를 향상시키기 위해서는 개인이 맡은 바 직무, 상사와 긍정적인 상호작용을 통하여 적합성을 유지할 수 있도록 관리하고 지원하는 정책을 개발하는 것이 중요한 것을 시사한다.
According to a press release from the National Police Agency on September 18, 2023, the police organization will be reorganized to focus on crime prevention and response in order to promote the reorganization of the National Police Agency and strengthen frontline policing capabilities. This study is important for the growth and development of police organizations to overcome the current crisis. And it is thought to be helpful for the members of the organization in taking innovative actions according to their needs. The number of studies on the relationship between environmental fit and innovative behavior of police officers is still limited, and there are no studies on individual-environmental fit in relation to innovative behavior. This study seeks to improve the understanding of police officers' innovative behaviors and creative idea development, which can contribute to improving the efficiency and quality of work performance in police organizations. This study explores strategies and tools that can attract police officers' innovative behavior and creativity, and provides guidelines that can be applied in the field. In addition, based on the analysis results, this study aims to provide useful implications for future police organization and human resource management policy makers to develop strategies to improve the level of innovative behavior of police officers and to establish related policies. The main analysis methods were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and hierarchical regression analysis to examine the impact of the independent variable, person-environment fit on innovation behavior and how the explanatory power changes by stage. The hierarchical regression analysis showed that among the control variables in Model 4, tenure (=.15, p<.05) was statistically significant, and job fit (=.50, p<.001) and supervisor fit (=.15, p<.001) all had a significant positive effect on innovation behavior. In other words, the higher tenure, job fit, and supervisor fit are shown, the higher innovation behavior is drawn. However, organizational fit was not statistically significant when all the sub-variables of individual and environmental fit were entered hierarchically. Among the variables in Model 4, tenure was found to be significant for innovation behavior. To investigate further, we divided the number of years of work experience into 10-year groups to see if innovation behavior varies by group. This study suggests that it is important to develop policies that manage and support individuals to maintain their fit through positive interactions with their job duties and supervisors. This will induce police officers to engage in innovative work behaviors in response to the rapidly changing policing environment, thereby improving the development and organizational performance of police organizations.
Ⅰ. 서 론
Ⅱ. 이론적 배경
Ⅲ. 연구의 방법
Ⅳ. 분석결과
Ⅴ. 결론 및 정책적 제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