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세검색
최근 검색어 전체 삭제
다국어입력
즐겨찾기0
학술저널

대학생의 경제적 제약과 일 자유의지, 진로 관여 행동의 관계: 외부 고용 가능성 인식의 조절 효과

The Relationship Between Economic Constraints, Work Volition, and Occupational Engagement Among Undergraduate Students: The Moderating Effect of Perceived External Employability

  • 66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제25권 3호.jpg

목적 본 연구는 대학생들의 경제적 제약이 일 자유의지를 통해 진로 관여 행동에 미치는 영향을 살펴보고, 외부 고용 가능성에 대한 인식이 이러한 관계를 조절하는지 검증하고자 하였다. 방법 서울 소재 대학교에 재학 중인 대학생 280명을 대상으로 경제적 제약, 외부 고용 가능성 인식, 일 자유의지, 진로 관여 행동을 측정하는 척도를 사용하여 온라인 설문을 실시하였다. 수집된 자료는 SPSS 26.0를 활용하여 기술통계 및 상관관계를 분석하였으며, PROCESS Macro를 통해 매개 효과, 조절 효과, 조절된 매개 효과를 분석하였다. 결과 경제적 제약이 일 자유의지를 통해 진로 관여 행동에 미치는 부정적 영향이 유의하게 나타나 매개 효과가 지지되었다. 또한, 외부 노동 시장의 고용 가능성에 대한 인식은 경제적 제약이 일 자유의지를 통해 진로 관여 행동에 미치는 영향을 조절하였다. 구체적으로, 외부 노동 시장의 고용 가능성이 낮게 인식될 때 경제적 제약은 낮은 일 자유의지를 매개로 진로 관여 행동을 감소시켰으나, 외부 노동 시장의 고용 가능성이 높게 인식될 때는 더 이상 이러한 관계가 유의하지 않았다. 결론 본 연구는 경제적 자원이 부족한 대학생의 진로 관여 행동 형성에 있어 외부 노동 시장의 기회에 대한 인식과 일 자유의지의 중요성을 강조한다. 외부 노동 시장의 고용 가능성에 대한 인식이 낮을 경우, 경제적 제약을 겪고 있는 대학생들의 일 자유의지가 감소하여 진로 관여 행동이 약화될 수 있다.

Objectives This study aimed to examine the relationship between economic constraints and occupational engagement through work volition among undergraduate students. It also investigated whether the perception of external employment opportunities moderates this indirect relationship. Methods An online survey was conducted with 280 undergraduate students enrolled in a university in Seoul. The survey measured economic constraints, perceived external employability, work volition, and occupational engagement using established scales. The collected data were analyzed using SPSS 26.0. The mediation, moderation, and moderated mediation effects were examined through the PROCESS macro. Results The results revealed that economic constraints had a negative impact on occupational engagement through reduced work volition. More importantly, this indirect relationship was significantly moderated by the perception of external employability. Specifically, when perceived external employability was low, economic constraints reduced occupational engagement through decreased work volition. However, this relationship was no longer significant when perceived external employability was high. Conclusions Overall, this study highlights the importance of perceived external labor market opportunities and work volition in shaping occupational engagement among economically constrained undergraduates. When perceptions of employability in the external labor market are low, work volition may decrease among economically constrained students, which can, in turn, weaken their occupational engagement.

Ⅰ. 서론

Ⅱ. 연구 방법

Ⅲ. 연구 결과

Ⅳ. 결론 및 제언

참고문헌

(0)

(0)

로딩중