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세검색
최근 검색어 전체 삭제
다국어입력
즐겨찾기0
학술저널

공유리더십과 갈등이 팀효과성에 미치는 영향: 관계갈등과 과업갈등을 중심으로

The Effect of Shared Leadership and Conflicts on Team Effectiveness: Focusing on Relationship Conflict and Task Conflict

  • 22
한국창업학회지 제19권 제6호.jpg

본 연구는 공유리더십이 팀효과성에 미치는 영향을 실증하면서, 그 영향관계에 갈등요인이 미치는 영향을 탐구하는 데 중점을 두었다. 현대조직은 구성원 간의 상호작용이 필수이면서 복잡해짐에 따라 갈등이 자주 야기된다. 특히 본 연구의 대상인 병원조직은 조직 내 갈등을 관리하는 활동이 팀효과성을 성취하는 데 긴요하다. 본 연구의 목적은 공유리더십이 관계갈등과 과업갈등을 완화하고 나아가 팀효과성을 증대시키는 메커니즘을 밝히는 것이다. 이를 위해 414명의 병원구성원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하였으며, 세 가지 가설모형을 비교, 분석하였다. 연구 결과, 공유리더십은 팀효과성에 긍정적인 직접효과가 있었고 갈등을 완화하는 데 유의하였다. 특히, 공유리더십은 과업갈등보다 관계갈등을 해소하는 데 효과적이었고 관계갈등이 과업갈등으로 전이되는 비재귀적 영향을 실증하였다. 이러한 결과를 토대로 학술적, 실무적 시사점을 제시하고 후속연구를 위한 연구방향을 제언하였다.

This study empirically investigates the impact of shared leadership on team effectiveness, specifically focusing on the implications inherent in conflict dynamics. In modern organizations, especially in hospitals, interactions among members have become essential yet complex, frequently leading to conflicts. Given that managing organizational conflict is crucial for enhancing team effectiveness in such environments, this research aims to analyze the mechanisms by which shared leadership mitigates relationship and task conflicts, subsequently increasing team effectiveness. To achieve this, a questionnaire survey was conducted with 414 hospital personnel, and three hypothetical research models were compared and analyzed. The results indicate that shared leadership has a positive direct effect on team effectiveness while significantly mitigating conflicts. Notably, shared leadership was found to be more effective in resolving relationship conflicts compared to task conflicts. The study also demonstrates a non-recursive influence where relationship conflicts can transfer into task conflicts. In light of these results, this research presents both academic and practical implications, suggesting critical directions for future managerial research.

Ⅰ. 서론

Ⅱ. 이론적 배경 및 연구가설

Ⅲ. 연구 방법

Ⅳ. 연구 결과

Ⅴ. 결론

참고문헌

(0)

(0)

로딩중