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세검색
최근 검색어 전체 삭제
다국어입력
즐겨찾기0
학술저널

Dreams Shared by Two Modern Poets in the 20th Century: T. S. Eliot’s Totemic-Mosaic Dream and Langston Hughes’s Dream Deferred

  • 0
T. S. 엘리엇연구 제34권 제2호.jpg

본 논문은 T.S. 엘리엇의 『황무지』와 랭스턴 휴즈의 「할렘 (2)」에서 꿈의 묘사를 비교하고 대조한다. 엘리엇의 토템-모자이크 꿈은 현대 사회의 환멸과 분열을 반영하며, 꿈이 깨지고 단절되어 제1차 세계대전 이후 영적 붕괴를 상징한다. 엘리엇은 단편적인 이미지와 신화적인 암시를 통해 의미가 흐릿하고 갱신의 가능성이 사라진 세계를 제시한다. 반면, 휴즈의 「할렘」은 특히 평등과 정의를 갈망하는 아프리카계 미국인들의 지연된 꿈이 초래하는 결과를 탐구한다. 휴즈는 생생하고 구체적인 이미지를 사용하여 이루어지지 않은 열망이 가져오는 정서적, 사회적 피해를 묘사하며, 지연된 꿈이 “말라버리거나,” “곪거나,” “폭발할 수 있다”고 암시한다. 엘리엇의 비전이 수동적인 절망과 영적 붕괴에 관한 것이라면, 휴즈는 결국 사회적 격변으로 이어질 수 있는 더 역동적이고 집단적인 미루어진 희망을 제시한다. 결국 본 논문에서 두 시인이 모두 이루어지지 않는 꿈의 파괴적인 힘을 강조한다. 엘리엇의 꿈은 분열된 전후 세계에서 더 넓은 존재적 위기를 반영하지만, 휴즈의 꿈은 사회적 맥락과 변화 가능성에 뿌리를 두고 있다고 본 논문에서 필자는 주장한다.

This paper compares and contrasts the portrayal of dreams in T. S. Eliot’s The Waste Land and Langston Hughes’s “Harlem (2).” Eliot’s totemic-mosaic dream reflects the disillusionment and division of modern society where dreams are broken and disconnected, symbolizing spiritual decay in the aftermath of World War I. Eliot presents a world in which the meaning is blurred and the possibility of renewal has disappeared through divided images and mythical hints. In contrast, Hughes’s “Harlem (2)” explores the consequences of deferred dreams, especially those of African Americans who crave equality and justice. Using vivid and concrete images, Hughes describes the emotional and social damage caused by unfulfilled aspirations, suggesting that deferred dreams should “dry up,” “fester,” or “explode.” Hughes presents a more dynamic and collective deferred hope that can eventually lead to social upheaval, while Eliot’s vision is about passive despair and spiritual collapse. In the end, this paper emphasizes the destructive power of dreams in which is achieved by neither poet. The author argues in this paper that Hughes’s dream is rooted in social context and potential for change, whereas Eliot’s dream reflects a wider existential crisis in a divided post-war world.

Ⅰ. Introduction

Ⅱ. Eliot’s Totemic-Mosaic Dream Portrayed in The Waste Land

Ⅲ. Hughes’s Unfulfilled “Dream Deferred”

Ⅳ. Conclusion

Works Cited

(0)

(0)

로딩중