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세검색
최근 검색어 전체 삭제
다국어입력
즐겨찾기0
사회통합연구 5(1).PNG
KCI등재 학술저널

용산의 장소성과 지역 브랜딩에 대한 연구

A Study on the Sense of Place and Regional Branding of Yongsan

DOI : 10.46907/sir.2024.5.2.67
  • 8

이 연구의 목적은 용산의 장소성 강화에 필요한 요소를 찾는 것이다. 이러한 장소성을 찾고자 하는 이유는 용산 브랜드라는 활성화에 있다. 용산 브랜딩이 필요한 까닭은 다음과 같다. 한국에서 서울을 포함해 용산이 가지고 있는 현재 장소성의 의미는 정치, 경제, 사회 면에서 매우 중요하다. 그러나 현재는 긍정보다는 부정의 의미가 더 크다. 이러한 용산에 대한 부정의 요소가 아닌 새로운, 긍정의 장소성 요소가 필요하다. 이 연구 내용으로, 기존의 용산이 가지고 있었던 장소성을 대표하는 미군기지, 전자상가, 이태원의 의미와 시간의 축적은 ‘용산’이라는 브랜드에 기여했음을 밝혔다. 하지만 이들의 이미지는 여러 이유로 쇠락해지고 있다. 미군기지와 전자상가는 장소자체가 사라졌고, 이태원이 가지고 있는 “다문화와 다양성”이라는 장소성은 2022년 10월 이후 변했기 때문이다. 이를 대체하려는 방안으로 용산의 제과 산업과 문학을 제안한다. 특히 제과산업은 일제강점기 때부터 8개 주요 제과 회사가 모여 있을 정도로 “제과 산업의 본산”이었다. 이 연구의 결과는 용산의 장소성으로 제과산업과 문학을 활용함으로써 새로운 용산 브랜딩 확립이 가능할 수 있음을 밝혔다는 점이다. 용산은 현재 한국의 3대 제과회사와 인연이 깊은 곳이고, 일제강점기 때에는 8개의 제과회사가 용산에 있었을 정도로 제과회사의 본산이었다. 용산은 『벙어리 삼룡이』 작가 나도향의 고향이며, 근현대 문학의 배경으로서 염상섭의 『사랑과 죄』를 포함해 다수의 작품 속에 등장한다. 제과산업과 문학은 사라져가는 전자상가와 미군기지의 의미가 변해버린 이태원을 대체할 수 있는 용산의 장소성이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find the elements necessary to strengthen the sense of place for the success of the regional brandingg of Yongsan. The reasons why the Yongsan branding needs to be successful are as follows. Yongsan's current sense of place is more negative than positive. For this change in sense of place, it is necessary to discover a new element, not a negative locational element. The reason why Yongsan wants to change its negative sense of place while discovering a new element is to heal the disasters of 2008 and 2022. The content of this study is that it was a U.S. military base, the electronic shopping mall, and Itaewon, representing the sense of place of Yongsan. And they revealed that they contributed to the brand of Yongsan by experiencing their own accumulation of meaning and time. However, they can no longer contribute for a number of reasons. This is because the location of U.S. military bases and electronic shopping malls has disappeared, and the sense of place of Itaewon has changed since 2022. It is the confectionery industry and literature that are presented to replace this. The result of this study is that the use of the confectionery industry and literature can help establish branding that utilizes Yongsan's sense of place. Yongsan is currently the home of Korea's three largest confectionery companies, and eight confectionery companies were located in Yongsan during Japanese colonial era. Yongsan is the hometown of Na Do-hyang, the author of “Sam-ryong-i”, and appears in many works, including “Love and Sin” by Yeom Sang-seop, as the background of modern and contemporary literature. The confectionery industry and literature are in themselves the places that replace the electronic shopping malls and U.S. military bases, and they are the mechanisms to heal the Itaewon and Yongsan disasters.

Ⅰ. 서론

Ⅱ. 지역 브랜딩과 장소성

Ⅲ. 지금까지의 용산 장소성

Ⅳ. 새로운 용산 장소성 발굴

Ⅴ. 결론

참고문헌

로딩중