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회고적 진술과 초점’ 변화를 통한 타자 재현의 가능성과 한계 : 소설 「그 여름」과 애니메이션 <그 여름>의 비교를 중심으로
The Possibilities and Limitations of Representing the Other through Changes in Retrospective Narration and Focalization : A Comparative Study of the Novel “The Summer” and Its Animated Adaptation
- 13

이 논문은 최은영의 소설 「그 여름」과 이를 각색한 애니메이션 <그 여름>의 비교를 통해 회고적 진술과 초점 등 서사 담론의 차이가 인물 형상화와 타자 인식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한다. 소설 「그 여름」은 초점자인 이경의 회고적 서술을 통해 이야기를 전개하며, 이를 통해 이경의 성숙과 타자에 대한 이해가 전지적인 관점에서 묘사된다. 반면 애니메이션 <그 여름>은 ‘성숙한 이경’의 회고적 서술을 약화시키고, 다양한 초점을 활용하여 이경의 목소리를 상대화함으로써, 이경의 시각을 넘어서 두 인물의 관계를 입체적으로 바라보게 만든다. 동시에 본 연구는 이경의 시선에서만 묘사되던 수이가 애니메이션에서 보다 독립적인 인물로 그려지지만, 여전히 헌신적인 사랑의 전형으로 묘사되는 한계가 있음을 살폈다. 이러한 한계에도, 본 논문이 강조하고자 한 것은 회고적 진술과 획일화된 초점화의 변화를 통해 주인공 중심의 서사를 전복하고, 다양한 관점에서 서사 속 인물과 사건을 이해하는 기반을 마련할 수 있다는 점이었다.
This study analyzes how differences in narrative discourse, such as retrospective narration and focalization, influence character representation and the perception of “the Other” by comparing Choi Eun-young’s novel “The Summer” and its animated adaptation. The novel unfolds through Yi-kyung’s retrospective narration, portraying her maturity and understanding of others from an omniscient perspective. In contrast, the animated adaptation diminishes the “mature Yi-kyung’s” retrospective narration and employs multiple focal points to relativize her voice, offering a more multidimensional view of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two characters. Su-i, previously depicted solely through Yi-kyung’s perspective, is portrayed as a more independent character while still constrained by her depiction as a devoted lover. Despite these limitations, this paper emphasizes how changes in retrospective narration and rigid focalization subvert protagonist-centered narratives and establish a foundation for understanding characters and events from diverse perspectives.
1. 들어가며
2. 중심인물의 성장 서사와 회고적 진술의 변화
3. 다양한 초점 활용을 통한 중심인물의 관점 전복
4. 서술 자체의 대상화와 타자 인식의 확장
5. 나오며
(0)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