연구 목적 : 24년 한국 사회는 미래에 대한 낙관적인 전망보다 다양한 불안 요소들이 내재되어 있다. 이러한 불안은 역사 속에서도 있었고 불안 속에서의 절망을 회피하기 위한 흐름 속에서 영지주의를 낳기도 했다. 영지주의는 2-3세기 교회에도 영향을 미쳐 기독교의 복음을 왜곡하였다. 그 영향력이 감소하긴 했지만 여전히 기독교 안에서 복음의 가면을 쓰고 복음의 의미를 변질시키고 있다. 이러한 현상은 기독교 교육에서도 나타난다. 기독교 교육은 복음을 가르치는 것이 아니라 복음의 가면을 쓴 영지주의를 가르치기도 하는 것이다. 영지주의에 기초한 기독교 교육은 하나님 나라의 실현에 봉사해야 하는 기독교 교육의 과제에 반하기에 이 논문은 영지주의를 극복하고 샬롬공동체인 하나님의 나라의 실현에 봉사할 수 있는 기독교 교육의 방향을 히브리적 신앙전승에 기초하여 모색할 것이다. 연구 내용 및 방법 : 영지주의를 극복하기 위한 기독교 교육의 방향 모색을 위한 연구의 내용은 다음과 같다. 첫째, 영지주의의 출현 배경과 영지주의 사상의 신관, 인간관, 구원관, 윤리사상에 대해 살펴봄으로 영지주의 사상에 대한 이해를 도모하였다. 둘째, 영지주의 사상의 흔적들을 살펴보고 그 흔적들이 기독교 교육의 분야 중 설교, 찬양, 교재공과에 어떻게 반영되는지 살펴봄으로써 영지주의가 기독교 교육에 미치는 문제점들을 확인하였다. 셋째, 영지주의를 극복하기 위한 기독교 방향을 히브리 신앙 전승을 토대로 제시하였다. 결론 및 제언 : 영지주의를 극복하기 위한 기독교교육의 방향은 다음과 같다. 첫째, 세상 속에서 구원활동을 하시는 하나님과의 만남을 돕는 교육이다. 둘째, 세상 속에서 인간의 사명을 감당하도록 돕는 교육이다. 셋째, 세상 속에서 구원활동을 하시는 하나님의 도구가 되도록 돕는 교육이다. 넷째, 세상에 샬롬공동체인 하나님 나라를 이루도록 돕는 교육이다.
Purpose of the Study: Christian education teaches the Gnosticism which fakes as a gospel. Since Christian education which is based on the Gnosticism is not part of the assignment of Christian education which requires to dedicate to creating the kingdom of God, this thesis will search for direction of the Christian education which enables to overcome Gnosticism and be able to dedicate to creating the kingdom of God, based on the ways of the Hebrew faith. Research Content and Method: The content of the study in order to search for direction of the Christian education in order to overcome the Gnosticism is stated as below. First, it helps the understanding toward Gnosticism by observing the background of the Gnosticism. Second, it states issues related to the Gnosticism toward Christian Education by observing philosophies of Gnosticism and how these have applied to sermon, praise, and education materials. Third, the way to overcome the Gnosticism is stated based on the succession of the Hebrew faith. Conclusions and Suggestions: The direction of the Christian education in order to overcome the Gnosticism is stated as below. First, it is an education which helps to meet God who saves people in the world. Second, it is an education which assists to fulfill the duties as humans in the world. Third, it is an education to assist in order to be ways for God to save people in the world. Fourth, it is an education which assists to create the kingdom of God
Ⅰ. 들어가는 말
Ⅱ. 영지주의에 대한 이해
Ⅲ. 기독교 교육에 반영된 영지주의 사상의 흔적
Ⅳ. 영지주의를 극복하기 위한 기독교 교육의 방향
Ⅴ. 나가는 말
참고문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