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 연구는 상사의 리더십과 조직몰입 간 관계에서 조직문화의 역할을 다층모형을 사용해 분석하였다. 이를 위해 상사의 리더십 스타일을 거래적리더십과 변혁적리더십으로 구분하고, 조직문화를 경쟁가치모형에 따라 관계문화, 혁신문화, 시장문화, 위계문화의 네 가지 유형으로 분류하였다. 주요 분석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다른 변수들을 통제한 상태에서 거래적리더십과 변혁적리더십 모두 조직몰입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쳤다. 둘째, 관계문화와 혁신문화는 조직몰입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지 않았다. 셋째, 시장문화가 강할수록 거래적리더십의 긍정적 효과가 강화된 반면, 위계문화가 강할수록 거래적리더십의 효과는 약화되었다. 넷째, 변혁적리더십과 조직문화 간 상호작용 효과는 모두 유의하지 않았다. 이러한 결과는 정부조직 내에서 상사의 리더십과 조직문화가 조직몰입에 미치는 영향이 상황에 따라 다를 수 있음을 시사하며, 특히 조직문화와 리더십 스타일의 조화가 조직몰입에 중요한 역할을 할 수 있음을 보여준다.
This study analyzes the role of organizational culture in the relationship between leadership and organizational commitment using a multilevel model. Specifically, leadership styles were categorized into transactional and transformational leadership, and organizational culture was divided into four types—clan, adhocracy, market, and hierarchy—based on the competing values framework. The main findings are as follows. First, both transactional and transformational leadership had positive effects on organizational commitment when other variables were controlled. Second, clan and adhocracy cultures did not significantly affect organizational commitment. Third, the positive effect of transactional leadership on organizational commitment was strengthened in organizations with a strong market culture but weakened in those with a strong hierarchical culture. Fourth, no significant interaction effects were found between transformational leadership and organizational culture. These results suggest that the impact of leadership and organizational culture on organizational commitment may vary depending on the context within government organizations, emphasizing the importance of alignment between organizational culture and leadership style.
Ⅰ. 서 론
Ⅱ. 이론적 논의 및 가설설정
Ⅲ. 연구설계
Ⅳ. 분석결과
Ⅴ. 결 론
참고문헌
(0)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