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세검색
최근 검색어 전체 삭제
다국어입력
즐겨찾기0
학술저널

육아기 재택근무의 도입과 전망

Introduction and Prospect of Telework during Childcare

  • 13
한국인사행정학회보 제23권 제4호.jpg

최근 공무원 이탈이 급증하는 가운데, 중앙정부 및 지방정부 차원에서 재택근무를 포함한 다양한 유연근무제도가 공공기관에 도입 및 확산되었다. 재택근무제도를 포함한 기존 유연근무제 도입의 목적이 개인 및 조직의 생산성과 효율성 제고에 있었다면, 최근 광역 및 지방자치단체를 중심으로 도입되기 시작한 ‘육아기 재택근무’ 제도는 ‘출산율 제고’라는 현재 우리나라의 시대적 상황에 따른 새로운 기대효과를 포함한 인사제도 개혁의 목적을 가진다고 할 수 있다. 이에 본 논문은 공공기관의 육아기 재택근무제도 도입 및 현황에 대해 살펴보고 동 제도가 개인 및 조직 생산성을 높이고 공무원 이탈을 방지할 뿐 아니라 일·가정 양립정책의 일환으로 저출생 문제에 대한 방안으로써 작동하기 위한 조건을 논의한다.

Amid the recent surge in the number of civil servants leaving, various flexible work systems, including telework, have been introduced and spread to public institutions at the central and local governments. While the purpose of introducing the existing flexible work system was to improve the productivity and efficiency of individuals and organizations, the 'telework during childcare' system, which was recently introduced mainly by metropolitan and local governments, has the purpose of reforming the personnel system, including new expected effects to respond to the urgent policy issue of Korea, notably termed 'raising the fertility rate'. Therefore, this study examines the introduction and status of the telework system during childcare in public institutions, and discusses the conditions for the system to work as a way to deal with low birth rates as part of the work-family balance policy, as well as to increase individual and organizational productivity and prevent the departure of public officials.

Ⅰ. 서 론

Ⅱ. 육아기 재택근무 제도의 도입과 현황

Ⅲ. 육아기 재택근무제도의 진단

Ⅳ. 육아기 재택근무제도의 개선방안 논의

Ⅴ. 결 론

참고문헌

(0)

(0)

로딩중