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 연구는 국가기본도의 최신성 확보를 위한 신속수정 체계 개선 방안을 제시하는 데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해 현행 국가기본도 제작 프로세스를 분석하고 주요 이슈를 도출하였으며, 영국, 미국, 일본과 같은 국외 선진 사례를 검토하였다. 그리고 이러한 분석 내용을 토대로 크라우드 소싱 DB 구축, Geo-AI 기반의 변화 탐지 모델 개발 그리고 데이터베이스 체계로의 전환과 같은 기술적 측면에 개선 방안을 제시하였고, 이에 필요한 조직과 법제도 체계 개선 방안을 도출하였다. 국가기본도는 다양한 국가공간정보 구축의 기반이 되는 핵심 정보이다. 따라서 이 연구에서 제시한 국가기본도 신속수정 체계 개선 방안은 국가기본도는 물론, 국가공간정보 DB의 최신성과 활용성을 높이는 데 기여할 것으로 판단된다.
This study aimed at proposing improvement plan for real-time updating of the national base map. In order to do this, we first analyzed the current production workflows of the national base map and reviewed the advanced cases in the US, the UK and Japan. Based on the analysis, this research suggested the improvement plan of technical aspect like constructing crowdsourcing DB, building change detection model using Geo-AI, transition to geospatial DB, and extracted measures to enhance the systems of legal and organization. The national base map is one of the core information which is used to construct various geospatial data. Therefore the improvement plans we proposed could be contributed in securing up-to-dateness and availability of the national base map and the national geospatial data.
1. 서 론
2. 국가기본도 신속수정 프로세스와 주요 이슈
3. 국외 주요 현황 분석
4. 국가기본도 신속수정체계 개선 방안
5. 결 론
참고문헌
(0)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