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세검색
최근 검색어 전체 삭제
다국어입력
즐겨찾기0
학술저널

드론 라이다를 활용한 임야지역 행정구역경계 조정 방안

Method for Adjusting Administrative District Boundaries in Forest Areas Using Drone LiDAR

  • 8
한국지적학회지 제40권 제3호.jpg

본 연구에서는 임야지역 행정구역 이중경계에 대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연구대상지역을 드론 라이다 기술을 활용하여 현실경계로써의 행정구역 경계를 추출 및 생성하였다. 또한, 드론 라이다 데이터 기반의 행정구역경계의 활용 가능성 평가를 위한 정확도 분석을 실시하였다. 드론 라이다 데이터의 정확도 검증을 위한 검사점 10점에서 현행 법률상 오차의 허용범위를 만족하는 결과로 나타났다. 연구대상지역의 임야도와 지적도의 접합을 수행한 후 드론 라이다 데이터로부터 생성한 행정구역 경계선과 연접한 두 시·군의 행정구역경계의 부합 여부를 분석하였다. 그 결과, 청도군 지역의 임야도상의 경계가 더 잘 부합하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따라서 드론 라이다 데이터 기반의 생성된 행정구역 경계선과 임야도상의 행정경계점 좌표를 비교·분석한 결과, 드론 라이다 데이터를 이용한 임야지역의 행정경계 생성 및 행정구역 현실경계의 제작 가능성이 충분한 것으로 판단되었다.

In this study, in order to solve the problem of double boundaries of administrative districts in forest areas, the administrative district boundaries as real boundaries were extracted and confirmed in the study area using drone LiDAR technology. In addition, an accuracy analysis was conducted to evaluate the usability of administrative district boundaries based on drone LiDAR data. The results showed that the 10-point inspection point for verifying the accuracy of drone lidar data satisfies the tolerance range of error under current law. After combining the forest map and cadastral map of the study area, we analyzed whether the administrative district boundaries of the two cities and counties adjacent to the administrative district boundaries created from drone lidar data matched. It was analyzed that the boundaries on the forest map in the Cheongdo-gun area matched better. As a result of comparing and analyzing the administrative district boundaries created based on drone LiDAR data and the coordinates of administrative boundary points on the forest map, it was determined that there was sufficient possibility of creating administrative boundaries in forest areas and creating realistic boundaries of administrative districts using drone LiDAR data.

1. 서 론

2. 이론적 고찰

3. 연구대상지역 및 데이터 취득

4. 데이터 처리 및 분석

5. 결 론

참고문헌

(0)

(0)

로딩중