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 연구에서는 지적학의 정체성을 확립하기 위하여 기존 선행연구들과 전문가의 설문조사를 바탕으로 지적학이 처해있는현재의 상황과 이에따른문제점을파악하여학문적관점과교육적관점으로분석하고, 이에 맞는 해결 방안을 제시하였다. 설문조사 결과, 지적학은 학문적 정체성과 체계, 교육과정등이 다소미흡하였고, 이를 위한해결방안으로는 다양한학술활동과연구의개발및투자등을진행하여야 한다고 나타났다. 이러한 시사점을 도출하여 지적학의 정체성 확립을 위한 방향으로 학문적 관점으로는 지적학의 대상, 범위 등을설정하여지적법의분리와국토교통부및지적소관청의독립적인지적부서 설치, 이론적인 학술 활동의 증가 등을 제시하였으며, 교육적 관점으로는 지적학의 기본서에따른 일관성 있는교육과정을 통하여 정체성을견고히해야다른분야와효율적인융합이가능할것이라고 제시하였다.
In this study, in order to establish the identity of cadastrology, we analyzed the current situation of cadastrology and the problems resulting from it based on previous studies and a survey of experts, analyzed it from an academic and educational perspective, and suggested solutions accordingly. The results of the survey showed that cadastrology is somewhat lacking in academic identity, system, and curriculum, and solutions to this include the development and investment of various academic activities and research. Based on these implications, we proposed the following from an academic perspective to establish the identity of cadastrology the separation of cadastre laws, the establishment of independent land departments under the Ministry of cadastre, Infrastructure and Transport and cadastre administration offices, and the increase of theoretical academic activities. From an educational perspective, it was suggested that efficient convergence with other fields would be possible only if identity was solidified through a consistent curriculum based on the basic book of cadastrology.
1. 서 론
2. 지적학의 이론적 고찰
3. 전문가 의견수렴을 통한 지적학의 현황 분석 및 시사점
4. 지적학의 시사점 및 발전 방향
5. 결 론
참고문헌
(0)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