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세검색
최근 검색어 전체 삭제
다국어입력
즐겨찾기0
학술저널

온라인 교회의 온라인 사목 방안 모색: 가톨릭 교회의 코로나19 대응 사목과 코로나19 이후 신앙생활과의 관계에서 방송·온라인 미사의 매개효과 분석을 토대로

Exploring Online Pastoral Care in the Online Church: Based on an analysis of the mediating effects of broadcast and online Masses on the relationship of Catholic Church's responding pastoral care to COVID-19 and post-COVID-19 faith life

  • 8
신학과철학 제48호.jpg

본 연구의 목적은 사목적 제언을 위해 가톨릭 교회의 코로나19 대응 사목과 코로나19 이후 신앙생활과의 관계에서 방송·온라인 미사의 매개효과를 살펴보는 것이다. 이를 위해2023년에 주교회의 한국가톨릭사목연구소에서 실시한 설문지에 응답한 가톨릭 신자 880 명을 대상으로 통계분석을 하였다. 연구결과 첫째, 가톨릭 교회의 코로나19 대응 사목은코로나19 이후 신앙생활에 부적(-)인 상관관계가 있었다. 둘째, 가톨릭 교회의 코로나19 대응 사목이 증가하면 방송·온라인 미사도 증가하였다. 셋째, 가톨릭 교회의 코로나19 대응 사목과 코로나19 이후 신앙생활의 관계에서 방송·온라인 미사는 부적(-)으로 매개하였다. 이상의 연구결과는 대부분의 연구와 조사들이 방송·온라인 미사에 대해서 낙관론을펼치고 있는 지금의 상황에서 이론적인 차원에서 의미를 지닌다고 할 수 있다. 그리고본 논문 향후 코로나19와 같은 팬데믹 상황과 냉담 교우들을 위한 사목에 있어서 고착되지 않은 더 좋은 사목적 대응을 할 수 있는 실천적 가능성을 열어주었다고 할 수 있다. 본 논문은 마지막으로 실천적 가능성 중 하나로 온라인 교회의 온라인 사목에 대해서 제안하였다.

This research aims to examine the mediating effect of broadcast and online Masses on the Catholic Church's COVID-19 responding ministry and its relationship with faith life after COVID-19. For this purpose, a statistical analysis was conducted on 880 Catholics who responded to a questionnaire administered by the Korean Catholic Pastoral Institute of the Korean Bishops' Conference in 2023. The results showed that: first, the Catholic Church's COVID-19 responding ministry was negatively related to post-COVID-19 faith life; second, as the Catholic Church's COVID-19 responding ministry increased, so did the number of broadcast and online Masses; third, broadcast and online Masses negatively mediated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Catholic Church's COVID-19 responding ministry and post-COVID-19 faith practices. These findings provide theoretical insights, challenging the predominantly optimistic perspectives found in most studies and surveys regarding broadcast and online Masses. It can also be said that this research opens up practical possibilities for better pastoral responses to pandemic situations such as COVID-19 and pastoral care for inactive Catholics. In conclusion, as one of the practical possibilities, this paper proposes online pastoral care for online churches.

1. 서론

2. 이론적 배경

3. 연구방법

4. 분석결과

5. 결론 및 제언: 온라인 교회의 온라인 사목 방안 모색

(0)

(0)

로딩중