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세검색
최근 검색어 전체 삭제
다국어입력
즐겨찾기0
한국응용과학기술학회지 제41권 제6호.jpg
KCI등재 학술저널

Effect of Cosmetics Brand Consumers' Attachment and WOM Intention by Applying the Experience Economy Theory

DOI : 10.12925/jkocs.2024.41.6.1320
  • 9

본 연구는 체험형 화장품 매장에 대한 관심도가 높아짐에 따라 체험경제이론을 적용한 체험형화장품 브랜드 소비자의 애착과 구전의도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설문지 234부를수집하여 SPSS 27.0으로 빈도분석, 요인분석, 신뢰도 분석, 상관관계분석, 회귀분석을 실시하였다. 첫째, 교육적, 일탈적 체험이 브랜드 애착에 유의한 영향을 미쳤으며, 교육적 체험이 가장 큰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나타났다. 둘째, 오락적, 교육적, 심미적 체험이 구전의도에 유의한 영향을 미쳤으며, 심미적 체험이 가장큰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브랜드 애착은 구전의도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그러므로 브랜드 애착과 구전의도를 증진시키기 위해서는 흥미를 유발할 수 있는 재미 요소와 다양한미용 정보나 지식을 제공해야 한다. 또한, 매력적인 분위기의 공간으로 가꾸고 신선하고 새로운 경험을 선사해야 할 필요가 있다.

This study aimed to analyze the impact of applying experience economy theory on consumer attachment and word of mouth intention of experiential cosmetics brands as interest in experiential cosmetics stores increases. For this purpose, 234 questionnaires were collected and frequency analysis, factor analysis, reliability analysis, correlation analysis, and regression analysis were conducted using SPSS 27.0. First, education and escapist experiences had a significant impact on brand attachment, with education experiences having the largest impact. Second, entertainment, education, and esthetic experiences had a significant impact on word of mouth intention, with esthetic experiences having the largest impact. Third, brand attachment was found to have a significant impact on word of mouth. Therefore, to increase brand attachment and word of mouth, brands should provide fun elements and various beauty information or knowledge to trigger interest. In addition, it is necessary to create an attractive atmosphere and provide a fresh and new experience.

1. Introduction

2. Research method

3. Results and Discussion

4. Conclusion

References

로딩중