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청소년 축구선수들의 실패두려움과 인지된 경기력의 관계: 경쟁상태불안과 자기효능감의 이중매개효과
The Relationship between Fear of Failure and Perceived Performance in Youth Soccer Players: The Dual Mediation of Competitive Status Anxiety and Self-Efficacy
- 한국응용과학기술학회 (구.한국유화학회)
- 한국응용과학기술학회지
- 제41권 제6호
- : KCI등재
- 2024.12
- 1475 - 1489 (15 pages)
본 연구의 목적은 실패두려움과 인지된 경기력의 관계에서 경쟁상태불안과 자기효능감의 이중매개효과를 분석하고 각 변인 간의 인과관계를 탐색하는 것이다. 이를 위하여 서울·경기도 소재 중학생 축구선수 326명을 대상으로 자기보고식 설문을 진행하였다. 수집된 자료는 SPSS 28.0과 Amos 28.0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구조방정식모델분석과 매개효과를 검증하였고 매개변인의 간접효과 유의성을 확인하기 위해서 부트스트래핑 검증을 실시하였다. 그 결과 첫째, 실패두려움이 경쟁상태불안과 자기효능감에 유의한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자기효능감이 인지된 경기력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실패두려움과 인지된 경기력의 관계에서 자기효능감의 완전매개효과를 확인하였다. 본 연구를통해 청소년 축구선수의 실패두려움이 경쟁상태불안과 자기효능감에 영향을 주는 변인임을 확인하였으며, 자기효능감이 인지된 경기력을 위한 중요 매개변수임을 확인하였다. 청소년 선수들이 안정적인 심리상태로선수생활을 영위하기 위해 실패두려움의 강도를 낮추고 자기효능감을 향상시키는 것은 중요하며, 지도자들의 독려와 새로운 방향의 전략이 필요할 것이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analyze the dual mediating effects of competition state anxiety and self-efficacy on the relationship between fear of failure and perceived performance and to explore the causal relationship between each variable. For this purpose, a self-report questionnaire survey was conducted among 326 middle school soccer players in Seoul and Gyeonggi Province. The collected data were analyzed using SPSS 28.0 and Amos 28.0 programs to test the structural equation model analysis and mediation effects, and bootstrapping tests were conducted to confirm the significance of the indirect effects of the mediators. First, it was found that fear of failure had a significant effect on competitive state anxiety and self-efficacy. Second, it was found that self-efficacy had a significant effect on perceived performance. Third, the full mediation effect of self-efficacy on the relationship between fear of failure and perceived performance was confirmed. The present study confirmed that fear of failure in youth soccer players is a variable that affects their competitive status anxiety and self-efficacy, and self-efficacy is an important parameter for performance. Reducing the intensity of failure fear and improving self-efficacy are important for youth soccer players to have a stable psychological state, and new strategies should be encouraged by coaches.
1. 서 론
2. 연구방법
3. 결과 및 고찰
4. 결 론
Reference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