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세검색
최근 검색어 전체 삭제
다국어입력
즐겨찾기0
학술저널

인공 감미료를 이용한 음료 및 막걸리의 아스파탐 함량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Aspartame Content in Beverages and Makgeolli Containing Artificial Sweeteners

  • 31
공업기술연구 논문집 제43권 제2호.jpg

본 연구는 시판 음료와 막걸리에서 아스파탐 함량을 분석하고, 아스파탐이 함유된 음료 섭취가 건강에 미치는 영향을 평가하였다. 아스파탐은 설탕보다 약 200배 더 단맛을 내는 인공 감미료로, 주로 제로 칼로리 음료에 사용된다. 국제암연구소(IARC)는 아스파탐을 그룹 2B 발암물질로 분류하고 있다. HPLC를 사용하여 22종의 음료와 막걸리에서 아스파탐농도를 분석하였다. 커피, 제로 칼로리 음료, 에너지 음료에서는 아스파탐이 검출되지 않았으나, 특정 브랜드의 콜라, 일반 음료 및 모든 막걸리 샘플에서 아스파탐이 검출되었다. 60kg 성인을 기준으로 할 때, 콜라 21.2병, 일반 음료 11.2병, 막걸리 19.9병을 섭취하면 아스파탐의 ADI를 초과할 것으로 추정되었다. 특히 페닐케톤뇨증 환자의 경우, 소량의 페닐알라닌도 해로울 수 있어 아스파탐이 정신 건강에 부정적인 영향을 미칠 수 있다. 따라서 아스파탐 함량에 대한 명확한 표시가 필수적이다. 본 연구는 2023년 6월부터 12월까지 6개월 동안 음료와 막걸리의 아스파탐 함량을 분석하여 소비자에게 인공 감미료에 대한 정확한 정보를 제공하고 건강한 선택을 돕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This study analyzed the aspartame content in commercially available beverages and makgeolli and evaluated the potential health effects of consuming aspartame-containing beverages. Aspartame, an artificial sweetener approximately 200 times sweeter than sugar, is commonly used in zero-calorie drinks. The International Agency for Research on Cancer (IARC) has classified aspartame as a Group 2B carcinogen. The aspartame concentrations in 22 types of beverages and makgeolli were analyzed using high-performance liquid chromatography (HPLC). Aspartame was not detected in coffee, zero-calorie beverages, or energy drinks. However, it was detected in certain cola brands, regular beverages, and all makgeolli samples. Based on a 60 kg adult, the acceptable daily intake (ADI) of aspartame would be exceeded by consuming 21.2 bottles of cola, 11.2 bottles of regular beverages, or 19.9 bottles of makgeolli. Particularly for individuals with phenylketonuria, even small amounts of phenylalanine may have harmful effects, potentially impacting mental health. Therefore, clear labeling of aspartame content is essential. This study, conducted over six months from June to December 2023, aims to provide accurate information about artificial sweeteners and support consumers in making healthier choices.

I. Introduction

II. Method

III. Results

IV. Conclusion

References

(0)

(0)

로딩중