맥락적 문법 학습: 시제와 의문사 사용에 대한 이야기책의 영향
The Influence of Storybooks on the Use of Tense and Wh-words
- 글로벌응용인문학회
- 글로벌응용인문학연구
- 제3권 1호
-
2025.02105 - 122 (18 pages)
-
DOI : 10.58990/galas.2025.3.1.105
- 2

본 연구는 영어 이야기책을 활용한 문법 수업이 중학생의 읽기 능력과 정의적 영역(참여도, 흥미도, 자신감 등)에 미치는 영향을 시제와 의문사를 중심으로 분석하였다. 전통적인 문법 수업은 주로 암기와 규칙 전달에 초점을 맞추어 학습자의 흥미와 동기를 저하시킬 가능성이 크며, 실제 사용 상황에서의 문법 적용 능력을 충분히 개발하지 못하는 한계가 있다. 이에 반해 영어 이야기책은 학습자들에게 흥미로운 스토리와 풍부한 언어적 맥락을 제공하여 자연스러운 문법 학습을 가능하게 한다. 이야기책 속에는 시제와 의문사와 같은 주요 문법 요소가 다양한 상황에서 반복적으로 등장하며, 이는 학습자들이 실제 맥락 속에서 문법 규칙을 이해하고 체득하도록 돕는다. 본 연구는 중학교 2학년 학생 60명을 대상으로 실험군(30명)과 통제군(30명)으로 나누어 진행되었다. 실험군은 영어 이야기책을 활용한 문법 수업을 받았고, 통제군은 전통적인 방식으로 수업이 이루어졌다. 연구는 8주 동안 주 2회씩 진행되었으며, 독해력 테스트와 정의적 영역 설문조사를 통해 데이터를 수집하였다. 실험 결과, 실험군은 통제군에 비해 독해력 테스트에서 유의미하게 높은 점수를 기록하였으며(p < 0.05), 정의적 영역에서도 참여도, 흥미도, 자신감이 각각 20%, 25%, 15% 증가하는 긍정적인 변화를 보였다. 특히 실험군 학생들은 이야기책 속 등장인물 간의 대화를 통해 의문사를 직접 사용하며 질문과 답변 연습을 수행하였다. 의문사를 사용한 의문문 같은 질문에 대해 과거 시제를 활용하여 답변하는 과정에서 자연스럽게 문법 규칙을 익혔다. 또한 이야기책 기반 수업은 학생들 간의 상호작용과 협동 학습을 촉진하여 학습 효과를 극대화하였다. 학생들은 이러한 수업 방식이 영어에 대한 두려움을 줄이고 자신감을 높였다고 응답하였다. 본 연구는 영어 이야기책 기반 문법 수업이 학습자의 읽기 능력과 정의적 영역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친다는 것을 입증하였다. 특히 시제와 의문사를 중심으로 한 수업 설계는 학습자가 실생활에서 영어를 더 자연스럽게 사용할 수 있도록 돕는다. 이와 함께 이야기책 활용은 학습자의 흥미를 유지하고 동기를 부여함으로써 전통적인 교수법의 한계를 보완할 수 있는 효과적인 대안임을 보여준다. 따라서 영어 교육 현장에서 이야기책 기반 문법 수업이 학습자중심의 교수법으로 자리 잡을 가능성을 제시하며, 언어적·정서적 발달을 동시에 지원할 수 있는 교육적 가치를 강조한다.
This study investigates the impact of storybook-based grammar instruction on middle school students’ reading skills and affective domains, focusing on tenses and interrogatives. Conducted over eight weeks with 60 students, the research compared an experimental group using storybooks to a control group taught traditionally. Findings showed that storybook-based instruction significantly improved reading comprehension, engagement, and confidence. Students demonstrated better understanding of grammar, greater enjoyment, and reduced anxiety. The interactive nature of storybooks fostered active participation and collaboration. These results highlight storybooks as an effective tool for enhancing both linguistic proficiency and emotional development in language learning.
Ⅰ. 연구의 필요성과 목적
Ⅱ. 이론적 배경
Ⅲ. 연구 방법
Ⅳ. 연구 결과
Ⅴ. 결론 및 시사점
참고문헌
(0)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