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세검색
최근 검색어 전체 삭제
다국어입력
즐겨찾기0
한국기록관리학회지 제25권 제1호.jpg
KCI등재 학술저널

텍스트마이닝을 활용한 공공기록물 관련 뉴스 기사 분석

An Analysis of News Articles Related to Public Records Using Text Mining

DOI : 10.14404/JKSARM.2025.25.1.103

본 연구는 2000~2024년 사이에 발행된 공공기록물 관련 뉴스 기사 5,050건을 대상으로 텍스트마이닝 기법을 활용하여 공공기록물과 사회·정치적 이슈 간 연관성을 밝히고자 하였다. 빈도분석 결과, 뉴스 기사는 공공기록물 자체보다 사건·사고 및 정치적 이슈를 중심으로 보도하며, 가장 많이 언급된 기록물 유형은 회의록이었다. 바이그램 네트워크 분석에서는 ‘대화록’, ‘회의록’, ‘기록물’, ‘공공기록물법’이 핵심 키워드로 나타났으며, 네트워크 군집분석 결과 ‘공공기록물 관리’, ‘남북정상회담 회의록’, ‘공공기록물법 관련 논란’의 세 가지 주요 주제가 도출되었다. 감성분석 결과, 긍정 기사에서는 기록관리 우수기관 사례를, 부정 기사에서는 공공기록물법 위반 및 기록관리 미흡 문제를 주로 다루고 있었음을 확인하였다. 마지막으로 공공기록물 관련 연구 동향과 뉴스 기사 분석결과를 비교하였고 이를 바탕으로 공공기록물 관련 사회적 문제를 해결하고 개선하기 위한 정책적 제언을 도출하였다.

This study examines the relationship between public records and sociopolitical issues by applying text mining techniques to 5,050 news articles related to public records published from 2000 to 2024. The frequency analysis results indicate that news articles primarily focus on incidents, accidents, and political issues rather than public records, with meeting records being the most frequently mentioned record type. In the Bigram network analysis, the main keywords identified were “dialogue records,” “meeting minutes,” “records,” and “Public Records Management Act.” The network clustering analysis revealed three major themes: (1) public records management, (2) inter-Korean summit meeting records, and (3) controversies surrounding the Public Records Management Act. The sentiment analysis results indicate that positive news articles mainly highlight cases of exemplary record management institutions. Conversely, negative articles focused on Public Records Management Act violations and records management deficiencies. Finally, the study compared research trends with findings from the news article analysis and provided policy recommendations to address and improve social issues related to public records.

1. 서론

2. 이론적 배경

3. 연구 방법

4. 연구 결과

5. 결론 및 제언

참고문헌

로딩중