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세검색
최근 검색어 전체 삭제
다국어입력
즐겨찾기0
학술저널

대학생의 자아개념, 대인지각 그리고 학교생활 적응 간의 인과관계 분석

Analysis of Causal Relationships Between University Students' Self-concept, Interpersonal Perception, and School Life Adaptation

  • 289
사회과학리뷰 제10권 제1호.jpg

본 연구는 대학생을 대상으로 자아개념이 대인지각을 매개하여 학교생활 적응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하였다. 자신을 대하는 타인을 어떻게 인식하고, 문제를 만났을 때 어떻게 해결하는가에 따라 자아개념이 결정된다고 보았고, 이를 기반으로 자아개념을 사회적·가족적·신체적·학업적 자아로 구분하였다. 분석 결과 대학생의 자아개념인 사회적·가족적·신체적·학업적 자아개념이 학교생활 적응과는 유의한 것으로 확인되었지만, 대인지각과 매개했을 때에는 학교생활 적응에 유의미한 영향을 미치지 않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이는 한국 사회 대학생의 자아개념이 중요하다는 것을 시사한다. 또한 대학생의 학교생활 적응이 대인지각에 영향을 받지 않는다는 결과가 나왔다. 이는 대인지각과 무관하게 학교생활에 적응한다는 의미이다. 개인이 맺는 대인관계에 있어서 학교생활 적응이라는 부분은 별개의 건이 되며, 유기적으로 연결되지 않는다고 할 수 있다. 이상 대학생의 자아개념, 대인지각 그리고 학교생활 적응 간의 인과관계를 분석해 본 결과, 대학생의 학교생활 적응을 위해서는 자아개념이 중요한 요인이었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This study analyzed the effect of self-concept on school life adaptation through interpersonal perception among university students. It was believed that self-concept is determined by how one perceives others and how one solves problems when faced with them, and based on this, self-concept was divided into social, familial, physical, and academic selves. Analysis results, It was confirmed that the social, family, physical, and academic self-concepts of university students were significantly related to school life adjustment, When mediated by the large cognitive angle, it was confirmed that attention was not paid to school life adaptation. This suggests that the self-concept of Korean social science students is important. In addition, The results showed that college students' school life adjustment was not affected by the cognitive angle. This means that they adapt to school life regardless of their interpersonal perception. In interpersonal relationships, the part about adapting to school life is a separate issue and is not organically connected. As a result of analyzing the causal relationship between self-concept, grand cognitive angle, and school life adjustment of university students, it was confirmed that self-concept was an important factor for university students' school life adjustment.

Ⅰ. 서론

Ⅱ. 연구방법

Ⅲ. 분석결과 및 해석

Ⅳ. 결론 및 제언

참고문헌

(0)

(0)

로딩중