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세검색
최근 검색어 전체 삭제
다국어입력
즐겨찾기0
학술저널

모호성이 직무스트레스를 매개로 금융회사 영업사원의 영업성과, 업무만족도, 이직의사에 미치는 영향: 인구통계학적 통제변수 역할을 중심으로

The Impact of Ambiguity on Sales Performance, Job Satisfaction, and Turnover Intention Among Financial Sales Employees: The Mediating Role of Job Stress and the Influence of Demographic Factors

  • 13
상품학연구 제43권 제1호.jpg

현대의 급변하는 조직 환경과 복잡해진 업무구조는 직무스트레스(Job Stress)를 유발하는 중요한 요인으로 작용하고 있다. 이러한 직무스트레스의 주요한 직접 원인 중 하나로 많은 선행연구에서는 모호성(Ambiguity)을 주목하고 있는데, 본 연구는 금융회사의 영업사원을 대상으로 모호성이 직무스트레스를 매개로 영업성과, 업무만족도, 이직의사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하고, 이 과정에서 성별, 나이, 직급, 근무연수와 같은 인구통계학적 요인이 미치는 영향을 살펴보았다. 연구 결과, 영업사원의 인구통계학적 특성에 따라 모호성이 직무스트레스 및 영업성과, 업무만족도, 이직의사에 미치는 영향에 일부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모호성 유형별로 직무스트레스를 매개로 영업성과와 업무만족도에는 부(-)의 영향을, 이직의사에는 정(+)의 영향을 미치거나 영향을 미치지 않는 경우로 구분됨을 확인하였다. 본 연구는 인구통계학적 요인에 따른 모호성과 직무스트레스의 상호작용 메커니즘을 규명하고, 영업성과, 업무만족도, 이직의사와의 관계를 통합적으로 설명하는 모델을 제시함으로써 영업현장에서의 조직관리 이론의 확장 가능성을 제시하였다는데 의미가 있다.

The rapidly changing organizational environment and complex work structure of today are important factors causing job stress. Many previous studies have focused on ambiguity as one of the main direct causes of job stress. This study analyzed the effects of ambiguity on sales performance, job satisfaction, and turnover intention through job stress for financial sales employees. It also examines the moderating effects of demographic factors such as gender, age, position, and tenure. Findings indicate that the effects of ambiguity on job stress and work outcomes vary by demographic characteristics. Certain types of ambiguity negatively impact sales performance and job satisfaction through job stress, while others increase turnover intention or have no significant effect. By clarifying these dynamics, this study offers insights for improving organizational management in sales environments.

Ⅰ. 서 론

Ⅱ. 이론적 배경

Ⅲ. 연구 방법

Ⅳ. 연구결과

V. 결론 및 시사점

참고문헌

(0)

(0)

로딩중