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세검색
최근 검색어 전체 삭제
다국어입력
즐겨찾기0
학술저널

중국인 한국어 학습자의 토픽 쓰기 54번 텍스트에 나타난 응집성(coherence) 양상 분석

Analysis of coherence in text 54 of Chinese learners’ Test of Proficiency in Korean writing

  • 113
리터러시 연구 15권 6호.jpg

본 연구는 KFL 환경 중국인 한국어 학습자를 대상으로 이들이 완성한 텍스트 양상을 ‘응집성’을 중심으로 분석하고, 인터뷰를 통해 글쓰기 과정에서 ‘응집성’ 고려 양상을 확인하고 검토하였다. 중국인 학습자들은 토픽 글쓰기 54번 유형 프롬프트를 읽고 텍스트를 완성하였고, 글쓰기를 완성한 후에는 인터뷰에 참여해서 글쓰기 과정에서 독자, 거시구조, 주제부와 설명부 등을 어느 정도 고려하였는지에 대해서 응답하였다. 마지막으로 텍스트 분석 결과와 인터뷰 결과를 토대로 중국 대학교 한국어학과에 제공할 수 있는 교육적 함의들을 종합하여 제시하였다. 본 연구는 결속성이 아니라 응집성에 주목해서, 실제 KFL 환경 중국인 학습자가 완성한 텍스트를 분석하고, 이들을 대상으로 인터뷰를 진행한 후에, 교육적 함의를 도출했다는 점에서 의의가 있을 것이다.

This study analyzed the textual patterns of Chinese Korean language learners in a Korean-as-a-foreign language (KFL) environment, focusing on “coherence.” The study examined how these learners considered coherence in their writing process by analyzing the texts they produced and conducting interviews. Chinese learners completed the text based on the prompt of text 54 in the Test of Proficiency in Korean writing. After completing their writing, they participated in interviews where they responded to questions about how much they considered elements such as the reader, macrostructure, thema, and rhema during the writing process. Finally, based on the results of text analysis and interviews, this study synthesized educational implications that can be provided to Korean language departments at Chinese universities. As this study focused on coherence rather than cohesion, analyzed actual texts completed by Chinese learners in a KFL environment, and conducted interviews with them to derive educational implications, it is expected to have significant implications.

1. 서론

2. 응집성(coherence) 개념과 텍스트 분석 기준

3. 연구 방법

4. 응집성 양상과 교육적 함의

5. 결론

(0)

(0)

로딩중